“체코 북 대사관, ‘드론’ 등 불법무기 밀수시도”…뒤늦게 확인

0:00 / 0:00

앵커 : 동유럽 체코(체스꼬)에서 북한이 지난 2012년께 탱크(장갑차)와 전투기의 부품, 그리고 드론(무인기) 등의 무기를 밀수입하려다 적발된 사실이 최근 체코 정보당국에 의해 뒤늦게 확인됐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체코 프라하 주재 북한 대사관 외교관이 지난 2012년부터 2013년 초까지 드론과 탱크 부품을 구매하려다 적발된 사실을 체코 정보국(BIS) 관계자가 최근 확인해줬다고 27일 슬로바키아 일간지 ‘데닉 엔’(Denník N) 등 슬로바키아 언론이 보도했습니다.

‘데닉 엔’에 따르면 지난 2012년과 2013년 초에 체코 주재 북한 외교관이 한 체코 사업가에게 직접 연락해, 구 소련제 탱크인 T-54와 T-55 부품과 드론을 구매하겠다고 요청하며 밀수를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드론이란 사람이 타지 않고 원격조종으로 움직이는 비행기를 말하며, 감시, 정찰, 범죄수사 임무 수행은 물론 무기를 장착해 군사 공격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북한 외교관은 구체적인 요구사항으로 1시간 이상을 비행할 수 있는 드론을 요구하며 구매에 애를 썼다고 이 매체는 설명했습니다.

또 당시 이 체코 주재 북한 외교관은 체코의 항공기 제조회사인 ‘에어로 보도호디’(Aero Vodochody)사의 전투기인 L-39의 부품과 탱크 BRDM, BTR, BMP2의 부품에 구매를 요청했습니다.

2006년 10월 통과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718호 등은 북한과의 재래식 무기거래를 비롯해 북한의 무기 수출입을 전면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에 이 같은 거래를 유심히 감시하고 있던 체코 정보국이 체코 외무부에 알렸고, 체코 외무부가 북한의 밀수 거래를 중단시켰습니다.

당시 체코 정보국은 이 북한 외교관의 추방을 체코 외무부에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체코 외무부는 이 사건이 발생하기 1년 전에 이미 경제 부문의 다른 북한 외교관이 추방됐다고 난색을 표하며 추방을 거부했다고 이 매체는 밝혔습니다.

결국 무기를 밀수입하려던 이 북한 외교관은 북한의 요구로 중국을 통해 북한으로 송환됐다고 이 매체는 밝혔습니다.

하지만 현재 북한으로 송환된 이 북한 외교관이 누구인지와 구체적인 사건 발생 시점이나 경위 등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최근 평양으로 송환된 것으로 알려진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숙부인 김평일이 사건 직후 2015년 체코 대사로 부임한 상황이었습니다.

이와 관련해, 체코 정보국 대변인은 이 매체에 “오랜된 사건에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언급할 수 없지만, 일반적으로 체코에서 북한의 불법 무기 거래를 실제로 막았다는 사실을 확인한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북한이 체코에서 드론을 구매하려던 시점과 비슷한 시점에 북한의 무인기들이 한국에서 출몰해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

실제 지난 2013년과 2014년 한국의 파주시와 백령도, 그리고 삼척에서 북한의 것으로 보이는 소형 무인기가 발견된 사건이 있었습니다. 당시 한국 통일부 박수진 대변인의 공식 발표 내용입니다.

박수진 전 대변인 : 북한의 소행인 것으로 정부가 파악하고 있다고, 그리고 유관 부서에서 (드론이 북한의 것이라는 것을) 확인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 지난 2017년 6월 강원도 전방지역에서 발견된 북한군 정찰용 드론으로 추정되는 비행체가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이와 관련, 미국 랜드연구소의 군사전문가인 브루스 베넷(Bruce Benett) 선임연구원은 29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은 드론으로 한국의 목표물을 공격할 수 있으며, 특히 군사 목표물을 공격하기 위해 드론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베넷 선임연구원 : 북한이 드론을 이용해 2014년 청와대 사진을 찍었던 사례가 있었던 만큼, 북한이 드론을 이용해 한국 대통령이나 정부 고위 관리를 암살함으로써 정치적 위기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서 베넷 연구원은 그는 북한과 가까이 있는 경기도 파주시에 있는 한국 대기업 LG 공장 등을 북한이 드론으로 공격해 경제적 위기도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자유아시아방송은 체코 외무부와 유엔 주재 체코 대표부에 체코 주재 북한 대사관의 무기 밀수입 사건에 대한 입장과 배경을 확인하기 위해 문의했지만, 29일 오후까지 답변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