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7일 전격적으로 중국 다롄을 방문한 것은 미북 정상회담 준비 차원에서 중국 측과의 조율을 위한 것이라는 전문가의 분석이 나왔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조셉 디트라니(Joseph Detrani) 전 6자회담 미국 측 차석대표는 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은 1961년 '중조 우호협력 상호 원조조약'을 맺은 동맹국인 중국과 미북 정상회담에서 보조를 맞추기 위해 중국에 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따라서 이번 김 위원장의 다롄 방문에서는 미북 정상회담에서 논의될 문제들에 대한 북한의 전략 등에 대해 의견 교환이 이뤄졌을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미국의 대표적 한반도 전문가인 에반스 리비어(Evans Revere) 브루킹스연구소 객원 선임연구원도 이날 김 위원장이 중국을 재차 방문한 것은 놀랍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리비어 선임연구원: 김 위원장이 직접 시 주석에게 남북 정상회담의 결과를 알리고, 미북 정상회담에 임하는 북한의 전략(game plan)을 의논하는 한편 남북 정상회담 후 중국의 우려 등에 대해 들을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리비어 선임연구원은 북한이 중국 방문에 앞서 이를 한국 청와대에 미리 알렸다는 보도와 관련해 상당히 이례적인 행보로 올해 초부터 북한이 외부세계에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려는 시도라고 해석했습니다.
리비어 연구원은 그러나 미북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원하는 미국과 핵보유국으로 인정 받으려는 북한과의 접점을 찾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은 이미 핵 프로그램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산이 많은 북한의 지형상 핵시설과 핵물질 등에 대한 완전한 검증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북한의 핵 관련 신고가 얼마나 이뤄질 지 의문이라고 리비어 선임연구원은 주장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의 북한 전문가 브래들리 뱁슨(Bradley Babson) 전 세계은행 고문은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김 위원장은 중국 시진핑, 즉 습근평 국가주석에게 비핵화 문제 등에 관한 입장을 전달했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뱁슨 전 고문은 중국에서 북한의 비핵화 정책을 총괄하는 왕이 외교부장이 지난 2일 북한을 방문한 후, 김 위원장과 시 주석은 미북 정상회담 이후 그 결과를 놓고 다시 회동할 것으로 관측했었다고 말했습니다.
따라서 북중 정상이 한중일 정상회의에 앞서 만나기 위해 두 번째 회담 일정을 앞당긴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그는 진단했습니다.
뱁슨 전 고문: 중요한 전개입니다. 중국이 미북 정상회담 결과에 어떤 것이 포함되어야 하고 어떤 것은 제외되길 원하는 지를 북한 측에 분명히 밝히려 했을 것입니다.
뱁슨 전 고문은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의 대북 제재 문제뿐 아니라 미북 정상회담 이후 북한의 비핵화 과정에서 북중 국경지역의 핵 안전 문제(nuclear safety issues) 등에도 관여하길 원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벨기에 브뤼셀의 러시아 유럽 아시아 연구센터(The Centre for Russia Europe Asia Studies:CREAS)의 중국 전문가 테레사 팔론(Theresa Fallon) 센터장은 남북 정상회담 이후 중국이 북핵 문제 논의에서 소외되지 않기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만남이라고 분석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