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의 한 연구기관은 북한이 올해도 사이버 도발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서울에서 한도형 기자가 보도합니다.
과학기술분야의 한국 정부 출연 연구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최근 발간한 ‘북한 ICT 동향 조사 2022’ 보고서.
북한ICT연구회는 보고서를 통해 북한의 정보통신기술, 이른바 ICT 분야에 대한 10대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먼저 연구회는 2022년 북한의 도발로 인해 사이버 공간에서 긴장이 고조되었는데 올해도 이러한 기조가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연구회는 한국, 미국 정부에서 북한 해킹 공격의 가능성에 대해 발표할 시 북한이 반발할 수 있다고 밝혔고 올해 단순한 상호 비난 수준을 넘어 실제 사이버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 외무성은 지난해 7월 미국이야말로 사이버범죄국이라고 주장하는 글을 국제싸이버(사이버)범죄대책협회 소속원 명의로 홈페이지에 게시했고 같은달 미국 해커가 북한을 공격했다는 글을 다른 소속원 명의로 올린 바 있습니다.
연구회는 불법적인 해킹 범죄를 단행하고 있다는 국제사회의 비판에 대응하기 위해 북한이 외무성 산하 국제싸이버범죄대책협회를 결성한 것으로 추측했습니다.
연구회는 또 디지털 자산의 소유주를 증명하는 대체불가토큰, 이른바 NFT를 북한이 시험 발행할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NFT는 희소성을 보장할 수 있고 위조품이 나올 위험이 낮기 때문에 일부 작품의 경우 매우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기도 합니다.
연구회는 “NFT는 발행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면서도 디지털 콘텐츠의 가치를 높여주는 특징이 있다”며 “북한이 사진, 출판물, 영상 등에 NFT를 적용해 가치를 부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의 민간 연구기관인 신미국안보센터(CNAS)의 제이슨 바틀렛 연구원은 지난해 7월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 당국이 대북제재를 회피하고 자금을 확보할 목적으로 NFT를 사고파는 사례가 있다며 북한 정권의 지원을 위해 불법적으로 자금을 확보하려는 시도는 유엔 대북제재 위반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함께 연구회는 지난해 북한에서 대학 수준의 교육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 만큼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IT 전문 대학원이 등장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 관영매체는 지난해 12월 한 단계 높은 과학기술인재를 키워내기 위해 박사원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고 밝혔는데 박사원은 한국의 대학원을 뜻합니다.
이밖에 연구회는 올해 북한이 정찰위성 발사를 공언한 만큼 실제 발사를 감행할 것으로 바라봤고 정보통신 분야에서 북중러 협력이 확대될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또 북한이 고질적인 전력난을 타개하기 위해 ICT를 이용한 전력사용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고 바라봤고 농업에 ICT 기술을 적용하는 시스템, 이른바 스마트팜을 선보일 수 있다고 예측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연구회는 북한이 2021년 전자결제법을 제정한 만큼 올해 휴대전화(손전화) 전자결제 서비스를 위한 실제적인 조치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북한은 지난 2021년 10월 금융활동을 원활하게 보장하고 국가 재정을 강화하겠다며 전자결제법을 채택한 바 있습니다.
한편 연구회는 지난해 북한 ICT 10대 뉴스로 코로나 방역전에서 의료 정보화 역할 강조, 비대면 행사 확대, 내부망 온라인 게임 출시, IT총괄조직 정보산업성 활동 증대 등을 꼽았습니다.
기자 한도형, 에디터 오중석, 웹팀 한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