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추정 해커에 암호화폐 탈취당한 업체 “도난 자금 거래 차단”

0:00 / 0:00

앵커 :북한이 배후로 추정되는 해커가 또 수천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훔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해당 피해 업체는 일부 도난 자금의 거래를 차단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CNN 방송은 북한 추정 해커가 에스토니아 소재 암호화폐 지갑 서비스 업체 ‘아토믹 월렛(Atomic Wallet)’에서 최소 3천 500만 달러를 탈취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6일 보도했습니다.

아토믹 월렛은 지난 3일 “암호화폐 지갑이 피해를 입었다는 보고를 받았다”며 “월간 이용자의 1% 이하가 해킹 피해를 봤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구체적인 피해 금액이나 해킹의 배후는 명시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영국에 기반한 암호화폐 추적업체 ‘엘립틱(Elliptic)’ 등 복수의 암호화폐 전문업체들은 해커들이 사용한 돈세탁 기술과 수법이 기존 북한 해커들의 행적과 일치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아토믹 월렛 측은 6일 사회관계망서비스 트위터를 통해 “우리는 도난당한 자금을 추적하기 위해 선도적인 블록체인 분석업체와 계속 협력하고 있다”면서 “(도난 암호화폐) 일부는 주요 거래소와 협력해 이미 차단됐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수사관들에 따르면 이번 공격은 전문 해커에 의해 조직된 것으로 관련 조사는 여전히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미국의 암호화폐 추적 전문업체로 북한 해커 소행의 암호화폐 탈취사건에 대해 한미 양국 정부와 공조한 바 있는 체이널리시스의 에린 플랜트 선임 조사관은 과거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인터뷰에서 탈취 자금의 이체와 세탁을 추적해 최대한 많은 피해 금액을 회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플랜트 선임 조사관 :암호화폐에 대한 북한의 해킹 공격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현금화를 막는 것입니다. 어떻게든 북한의 탈취 자금 현금화를 단속하는 것만이 공격을 멈출 수 있는 방법입니다. 북한은 계속해서 사이버 공격을 벌일 겁니다.

북한 배후 해커들은 최근 몇년간 무기 개발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추적이 어려운 암호화폐를 집중 해킹했습니다.

북한 해커는 지난해 1월 미국 암호화폐 업체 ‘하모니’에서 1억 달러를 훔쳤습니다.

한미 양국 공동 조사단은 도난 자금 1억 달러를 수개월 간 추적해 이중 약 100만달러를 현금화 하기 전 회수해 동결시킨 바 있습니다.

북한 해커는 이후 같은 해 3월, 온라인게임 ‘엑시 인피니티’ 이용자들로부터 6억2천50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탈취했습니다.

미 재무부는 이 사건의 배후로 북한 해킹 조직 ‘라자루스’를 지목하고 지난해 4월 이들의 가상화폐 지갑 주소를 추가 제재했습니다.

한편 미 재무부와 국무부는 이번 해킹 사건에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 논평 요청에 7일 오후까지 답하지 않았습니다.

에디터 박정우,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