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의 마크 내퍼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부차관보는 최근 북한의 대남 위협 발언에 대한 한국 정부의 대응과 관련해 남북관계는 반드시 비핵화와 함께 진전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내퍼 부차관보는 4일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개최한 화상회의에서 한국 내 탈북민이 보낸 대북 전단과 관련해 남북 간 오고 간 입장 발표에 대해 한미 간 소통과 북한의 비핵화를 강조했습니다.
북한은 4일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의 담화문을 통해 탈북민의 대북전단 살포에 불쾌감을 나타내며, 이를 방치하면 "최악의 국면까지 내다봐야 할 것"이라고 위협했습니다.
이에 한국 정부는 대북전단 살포가 '백해무익한 행동'이라며 전단 살포를 막는 법안을 준비 중이라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내퍼 부차관보는 한국과 미국의 대북정책 담당자들이 북한 관련 사안에 대해 대화를 나누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내퍼 부차관보는 "미국은 다행히도 모든 단계에서 한국 측 관리와 대북 접근방향을 비롯해 다양한 사안에 대해 좋은 대화를 나누고 있다"면서 "스티븐 비건 국무부 부장관 겸 대북특별대표와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이에 대해 논의하고 있으며, 대화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다만 화상회의가 이뤄질 시점에 "해당 사안(김여정 담화)에 대한 한미 간 대화는 아직 없었던 것으로 안다"고 답했습니다.
내퍼 차관보는 북한의 위협에 대한 한국 정부의 반응에 대해 남북관계 진전은 북한의 비핵화를 수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내퍼 부차관보: (한국이) 어떤 입장을 표하든지 남북관계는 비핵화와 함께 진전돼야 한다고 확신합니다.
일각에서는 한국의 문재인 행정부가 북한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관련 법안 제정까지 검토하며, 남북관계 개선에 더욱 힘을 싣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날 화상회의에 참석한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수미 테리 선임 연구원은 북한의 고약한 담화문에 한국 정부가 4시간도 안돼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발표했다며, 이러한 입장은 대북정책에 대한 한미 간 잠재적인 분열을 가져올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한편, 미국 국방부는 대북 전단 살포가 남북 간 군사합의문을 파기하는 것이라는 북한 측 주장과 관련한 자유아시아방송(RFA) 논평 요청에 "이 사안은 미 국방부와 전혀 관련이 없으며, 말할 것이 없다"고 답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