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의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북한 비핵화 방식에 참고하기 위해 과거 구 소련 지역 내 핵 폐기 방식에 대한 설명을 들었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은 5일 백악관에서 샘 넌(Sam Nunn) 전 상원의원과 리차드 루거(Richard Lugar) 전 상원의원을 만나 이들이 1991년에 발의해 구 소련 비핵화를 이끌었던 넌-루거법(Nunn-Lugar Act)에 대한 설명을 들었습니다.
넌-루거법은 소련 붕괴 후 러시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에 있던 핵, 생화학무기와 핵시설, 핵물질을 폐기할 수 있도록 미국이 기술적, 재정적 지원에 나서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습니다.
이 법에 따라 미국은 1991년부터 2012년까지 총 150억~200억 달러의 재정 지원과 비핵화 기술을 제공해 구 소련 지역에서 비핵화가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이 이뤄지도록 했습니다.
펜스 부통령은 인터넷 사회연결망인 트위터에서 두 전 상원의원을 만나 구 소련 핵무기를 폐기했던 역사적인 넌-루거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을 들었고 미북 정상회담에 앞서 이들이 비핵화와 관련해 해준 조언에 감사하다고 말했습니다.
넌 전 상원의원과 루거 전 상원의원은 지난 4월 미국 일간지 워싱턴포스트에 공동으로 기고한 글에서 미북 정상회담에서 비핵화에 대한 합의가 이뤄진다면 그 후에는 구체적 이행을 위한 전문가 차원의 협상이 단계별로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들은 이 때 20년에 걸쳐 구 소련 비핵화를 주도해 역사적으로 증명된 넌-루거 프로그램을 북한 비핵화 절차에 적용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백악관이 미북 정상회담에 앞서 넌-루거 프로그램에 관심을 보인 것에 대해 전문가들은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라는 것이 한 번의 회담으로 일괄 타결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트럼프 행정부가 인정했다는 신호이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미국 민간단체인 군축협회(Arms Control Associations)의 킹스턴 리프 감축∙위협감소 정책 국장은 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넌-루거 프로그램은 북한 비핵화에 적용될 수 있다며 이에 대한 백악관의 관심을 환영했습니다.
리프 국장: 북한 비핵화는 시간을 두고 단계별로 진행되는 과정으로 행동 대 행동이 요구됩니다. 한번의 회담으로 비핵화를 이루겠다는 것은 비현실적입니다. 검증가능하게 북한의 핵무기와 관련 하부시설을 폐기하는 데 (넌-루거 프로그램)은 적용될 수 있는 방법(tool)입니다.
그는 넌-루거 프로그램 중 핵탄두와 관련 시설을 폐기한 경험과 핵무기를 개발했던 과학자와 기술자들을 핵무기 개발과 무관한 평화적인 과학, 기술 일에 종사하도록 했던 내용이 북한 비핵화 절차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