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EA “북 핵활동 심각한 우려”

0:00 / 0:00

앵커: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북한의 핵 활동을 우려하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준수와 핵무기전파방지조약(NPT) 복귀를 북한 측에 촉구했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11일 개최된 유엔 총회 보고에서 사전녹화한 영상을 통해 북한의 핵활동에 대한 우려를 표했습니다.

그로시 사무총장: 북한의 핵활동은 여전히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북한의 핵프로그램의 지속은 관련 안보리 결의의 명백한 위반이며 매우 유감스럽습니다. (The DPRK's nuclear activities remain a cause for serious concern. The continuation of the country's nuclear programme is a clear violation of relevant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and is deeply regrettable.)

특히 이날 그로시 사무총장은 국제원자력기구가 위성사진 등 공개된 정보를 활용해 북한의 핵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The Agency continues to monitor the nuclear programme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using open source information including satellite imagery.)

그러면서 그로시 사무총장은 북한이 안보리 결의에 따른 의무를 완전히 준수하고, '핵무기전파방지조약의 안전조치협정'(NPT Safeguards Agreement)에 조속히 복귀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또 북한의 요구로 지난 2009년 국제원자력기구 사찰관들이 북한을 나온 이후 10년 동안의 모든 미해결 문제를 해결할 것을 강조했습니다.

북한은 앞서 지난 1985년 핵무기전파방지조약(NPT)에 처음 가입했지만, 2003년 최종 탈퇴했습니다.

이어 그로시 사무총장은 국제원자력기구가 북한의 핵 프로그램을 검증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이날 유엔 주재 유럽연합과 일본, 한국, 쿠웨이트 등 대표부 측도 북한의 핵활동에 대해 우려를 표했습니다.

이날 유엔 주재 한국 대표부 측은 국제원자력기구가 북한의 핵프로그램을 검증하는데 핵심적인 준비가 돼 있다는 점 등 전 세계적인 핵감시 활동에 지지를 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유럽연합 대표부도 유럽연합은 북한의 핵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발전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며, 북한이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를 위한 신뢰할 수 있는 길을 가고 있다는 구체적인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The EU remains gravely concerned by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the DPRK's nuclear programme and urges the DPRK to embark on a credible path towards complete, verifiable and irreversible denuclearisation, and to take concrete steps in this direction.)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의 김성 대사가 11일 뉴욕 유엔 본부 총회장에서 발언하고 있다.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의 김성 대사가 11일 뉴욕 유엔 본부 총회장에서 발언하고 있다. (/유엔)

한편, 이날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의 김성 대사는 직접 뉴욕 유엔 본부 총회장에서 약 2분30초 동안 발언을 하며, 그로시 사무총장의 발언을 반박했습니다.

김 대사는 국제원자력기구의 연례보고서가 추측과 조작으로 가득차 있고, 국제원자력 기구가 서방 국가들의 정치적 도구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