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이 오는 9월9일 북한정권수립 70주년을 맞아 대사령을 공시한 가운데 지난 8.15광복절 사면에는 탈북을 시도하다 붙잡힌 수감자들도 포함되었다고 소식통들은 밝혔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손혜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7월 16일 북한당국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이름으로 공화국창건 70돌을 맞아 조국과 인민 앞에 죄를 짓고 유죄판결을 받은 수감자들에게 대사를 실시한다는 결정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북한정권수립일인 오는9월9일에 시행될 대사령에는 탈북자들도 포함될 것으로 알려져 당국의 민심잡기 전략의 하나라고 내부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양강도의 한 주민소식통은 13일 “지난 8월초 각 도 보안국 산하 교화소 수감자들의 형을 3년씩 감소한다는 8.15 대사령이 실행되어 3년형을 받고 수감생활을 하던 수감자들은 즉시 출소되고 5년 이상 형을 받은 수감자들은 형량이 감소되었다”며 “9월9일 대사령은 공화국창건(9.9절) 70돌을 기념해 시행되는 2차 대사령”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올해 시행된 대사령은 2015년의 대사령과 달리 탈북을 시도하다 붙잡혔거나 중국에서 북송된 탈북자들에게도 적용되었다”며 “탈북기도 수감자들의 가족들은 남조선과의 관계가 좋아지면서 중앙(김정은)에서 광폭 정치를 시작하는 게 아니냐며 잔뜩 기대하는 분위기”라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혜산시에는 탈북을 방조하거나 시도했던 사람, 중국에서 북송된 탈북자 여러 명이 개천교화소에 수감되었다가 8.15기념일을 맞으며 출소되었다”며 “개천교화소에서 출소된 수감자는 모두 200명 정도로 알려졌는데 다음달 9.9절을 맞으며 2차 대사령으로 나오는 수감자 수는 이보다 훨씬 많다는 말을 교화소 관계자로부터 들었다”고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개천교화소에서는 출소자명단을 지난 7월 25일 발표했으며 이후 출소자들은 며칠 동안 따로 모여 (김정은)원수님의 배려로 출소되는 것이니 사회 나가서 성실한 노동으로 보답해야 한다는 사상교육을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 평안남도의 또 다른 소식통은 “김정은 집권 이후 대사령은 올해까지 세 번 실시되었는데 2012년 김일성생일 100돌을 맞아 시행된 특별대사령은 전국의 교화소와 교양소, 예심을 받던 죄인들까지도 사면해주었다”며 “당시 한국행을 시도했던 수감자에게도 대사령이 내려져 주민들은 김정일시대와는 뭔가 다르다면서 기대감을 보였다”고 강조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나 이중삼중의 세부담과 생활난에 직면한 주민들의 탈북이 줄을 잇자 중앙에서는 국경경비대에 탈북자를 발견하면 즉시 사살해도 된다는 공포정치를 펴기 시작했고 주민들의 당국에 대한 원망이 깊어졌다”며 “그런데 올해 시행되는 대사령에 또다시 탈북자를 포함시킨 것은 어찌하나 돌아선 민심을 되돌려 보려는 시도”라고 풀이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