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 정부가 북한에서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의 유입을 막기 위한 대책 마련에 착수했습니다.
서울의 서재덕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 관계기관과 남북 접경지역 지방자치단체들이 3일 북한으로부터 아프리카돼지열병의 한국 내 유입을 막기 위한 방역방안과 남북 간 협력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서호 한국 통일부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회의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유입 차단의 필요성과 남북 간 공동방역 등을 언급하며 “북한측으로부터 답변은 없지만 답변이 오는 대로 유관기관과 함께 이 문제를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서호 차관은 “북한이 무엇이 필요한지 말해주면 이에 대해 함께 협력방안을 논의하자고 포괄적으로 북한측에 이야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지난달 31일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방지를 위한 남북협력 추진 의사를 남북연락사무소 협의를 통해 북한측에 전달한 바 있습니다.
서호 차관은 이어 “미국하고도 아프리카돼지열병에 대해 의견교환을 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며 “실무적으로 의견교환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습니다.
이낙연 한국 국무총리도 북한에서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의 한국 내 유입을 막기 위해 최고 수준의 방역태세 가동을 지시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의 통일부는 남북출입사무소의 검역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상민 한국 통일부 대변인은 “지난달 31일부터 검역 강화조치가 이뤄진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상민 한국 통일부 대변인 : 지금처럼 아프리카돼지열병 등과 같은 사안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관계기관에서 인원과 장비를 보강해 철저한 인원과 차량, 소독이나 검색을 하고 인원 출입에 대한 신변보호 문제 등을 조금 더 강화시켜서 조치를 취하게 됩니다.
이상민 대변인은 이어 “북한이 국제기구에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사실을 공식 보고한 것 이외에 한국 정부에 별도로 통보한 것은 없다”고 말했습니다.
중국 정부는 북한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병한 뒤 출입국 관련 검역을 강화했습니다.
중국 세관당국인 해관총서 홈페이지에 따르면 중국측은 지난달 31일 ‘북한 아프리카돼지열병 전파 방지와 관련한 경고 통보’를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북한에서 직간접적으로 돼지와 멧돼지, 관련 제품을 중국으로 들여오는 것이 금지됐습니다.
또한 중국측은 북한에서 오는 우편물이나 북한을 다녀오는 여행객의 휴대품에 대해 검사를 강화했고 관련 물품이 발견되면 반송하거나 소각하기로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