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행정부에 북 정통 인사들 합류 환영”

국무부 동아태담당 부차관보에 임명된 정 박 브루킹스연구소 한국석좌.
국무부 동아태담당 부차관보에 임명된 정 박 브루킹스연구소 한국석좌. (/연합뉴스)

0:00 / 0:00

앵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지명자가 상원 인준을 통과한 가운데 국무부에서 북한문제 등을 다루는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부차관보에 정 박 전 국가정보국(DNI) 동아시아담당 부정보관이 임명됐습니다.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은 북한문제에 정통한 인사들이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 안보팀에 속속 합류하는 것을 환영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상원이 지난 26일 개최된 본회의에서 블링컨 국무장관 지명자의 인준 동의안을 찬성 78표, 반대22표로 통과시켰습니다.

그의 인준이 통과되면서 조 바이든 대통령 인수위원회에서 활동한 정 박 브루킹스연구소 한국석좌는 자신의 트위터에 국무부 동아태담당 부차관보에 임명된 사실을 공개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마크 피츠패트릭 전 국무부 비확산 담당 부차관보는 27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바이든 행정부에 능력있고 실용적인 사고를 가진 전문가들이 포진돼 역내 안보와 세계 질서에 어느 국가보다도 큰 위협이 되는 북한 문제를 더 성공적으로 다룰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습니다.

피츠패트릭 전 부차관보: (블링컨 장관과) 웬디 셔먼 부장관 지명자를 비롯해 정박 부차관보 등 외교 전반, 특히 북한에 대한 깊은 지식과 경험을 지닌 사람들이 바이든 행정부 외교안보팀에 합류했습니다. 신속하게 대북 정책을 검토해 지침을 세우고 북한과 관여할 수 있다는 것이죠. 북한 전문가들이기 때문에 시간을 낭비하지 않을 뿐 아니라, 북한 측 기만 시도에 넘어가거나 도발에 겁먹지 않고 잘 대응할 것입니다.

피츠패트릭 전 부차관보는 그러면서 바이든 대통령이 성 김 전 인도네시아대사를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차관보 대행으로 임명한 것도 대북 정책을 신속히 수립하려는 바이든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가 고위급인 차관보에 정식 임명되려면 상원인준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미 국무부 내 외교관으로 활동 중인 김 전 대사를 차관보 대행으로 우선 기용했다는 설명입니다.

2018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 실무협상 등 북핵문제에 정통한 성 김 차관보 대행은 국무부에서 주한미대사, 6자회담 수석대표, 대북정책특별대표 겸 동아태부차관보 등을 지냈습니다.

한국계인 정 박 부차관보는 2009년부터 국가정보국(DNI) 북한 담당 부정보관 등을 거쳐 최근 미국 브루킹스연구소 한국석좌를 지낸 한반도 전문가입니다.

최근 브루킹스연구소에서 발표한 보고서에서는 한국 문재인 정부가 대북 관여정책을 위해 북한을 비판하는 발언과 활동을 위축시키는 데 권력을 사용해 왔다며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마커스 갈로스카스(Markus Garlauskas) 전 미국 국가정보국(DNI) 북한 담당 정보관은 박 전 석좌가 북한 문제와 관련한 한미 간 이견이 있더라도 객관적이고 분석적인 능력을 발휘해 탁월한 동맹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갈로스카스 전 정보관: 정 박 석좌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국가정보국 부정보관으로 각 정부 부처와 기관에 정책관련 정보를 보고하는 부차관보 급의 역할을 이미 경험했고, 깊은 지식을 토대로 진지하고 객관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것으로 봅니다.

미국 헤리티지재단의 브루스 클링너 선임연구원도 동북아문제에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성 김 차관보대행과 정 박 부차관보의 기용은 미국의 '아시아정책'을 다시 궤도에 올리려는 의지를 보여준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그러나 북한의 비핵화를 요구하는 유엔 대북제재결의 이행 등 북한의 변화 없이는 바이든 행정부와 그의 탁월한 외교안보팀도 북핵 문제를 진전시키기 힘들 것으로 예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