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링컨 “대북정책에 모든 선택지 검토···동맹으로 대응할 것”

0:00 / 0:00

앵커: 일본을 방문 중인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16일 북한이 발표한 한미연합훈련 비난 담화문에 대해 알고 있다며, 북한의 위협에 한미일 동맹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소영 기잡니다.

블링컨 장관은 16일 미일 국방·외교장관 회의가 끝난 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의 담화문과 관련해 "성명에 대해 알고 있다"며 "하지만 오늘 가장 관심있는 것은 우리 동맹국들의 의견"이라고 밝혔습니다. (I'm familiar with the comments you referenced, but the comments I'm actually most interested in today are those of our allies and partners.)

그는 "우리는 동맹국의 의견을 정확히 듣고 북한의 위협에 대한 총체적인 대응책을 논의하기 위해 일본에 왔다"고 강조했습니다. (That's why we've come to Japan, precisely to listen to our allies and to discuss how collectively we might seek to address the threat from North Korea.)

블링컨 장관은 "북한 사안과 관련해 동맹보다 더 나은 전략적 이점은 없기 때문에 동맹 차원에서 이 문제에 접근할 것"이라며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그렇게 해야 한다"고 동맹의 중요성을 재확인했습니다. (We have no greater strategic advantage when it comes to North Korea than this alliance, and we'll approach that challenge as an alliance. And we've got to do that if we're going to be effective.)

그는 또 "미국의 대북 정책은 북한이 이웃 국가를 비롯해 국제사회에 가하는 위협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모든 선택지에 대한 평가를 포함한 각 관계부처 간 철저한 검토"라며 "전직 관료와 외부 전문가, 연구기관의 의견 등 매우 다양한 목소리를 취합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it's a thorough interagency review of U.S. policy toward North Korea, including evaluation of all available options to address the increasing threat posed by North Korea to its neighbors and the broader international community. It has integrated a very diverse set of voices from throughout the government and incorporated inputs from thinktanks, outside experts, including former government officials.

블링컨 장관은 북한의 위협을 줄이기 위해 접촉을 시도했으나 북한으로부터 아무런 답변을 받지 못했다며, 곧 대북정책 검토를 마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블링컨 장관: 오늘까지 북한으로부터 답변이 없었습니다. 북한과 관여하기 위해 미국이 여러번 시도했지만 1년 이상 대화가 없었습니다. 우리는 수주 내로 대북정책 검토가 마무리되길 기대하며, 일본, 한국 등 동맹국들과 계속해서 긴밀하게 연락할 것입니다. (To date, we have not received a response from Pyongyang. This follows over a year without active dialogue with North Korea, despite multiple attempts by the United States to engage. We look forward to completing the policy review in the coming weeks, and we'll continue to be in very close touch with Japan with Korea, our partners, as we do so.)

한편 미일 양국은 회의 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양국 장관들은 북한의 무기가 국제 평화와 안정에 위협이 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공약을 재확인하는 동시에 북한이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른 의무를 준수할 것을 촉구했다"며 "장관들은 또 일본인 납치 문제에 대한 즉각적인 해결의 필요성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16일 북한 담화문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즉답을 피했습니다.

사키 대변인은 다만 "우리의 목표는 항상 북한의 외교와 비핵화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앞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은 16일 북한 관영매체를 통해 낸 담화문에서 한미연합훈련을 비난하며 남북 군사합의서 파기와 대화와 교류 업무를 하는 대남기구 정리 등을 경고했습니다.

이는 바이든 미 행정부 출범 이후 나온 북한의 첫 공식 메시지로 블링컨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의 방한을 하루 앞둔 시점에 발표돼 큰 눈길을 끌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