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 국무부는 한국 측과 대북정책을 더욱 긴밀히 조율할 새 실무단(working group) 구성에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국무부는 아직 미북 간 실무회담이나 고위급 회담 일정이 정해지지 않았다는 입장도 내놨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로버트 팔라디노 국무부 부대변인은 30일 기자들과 만나 한미 양국이 대북정책을 중심으로 한 외교, 제재 이행 등에 대해 더욱 긴밀한 협력을 하기 위해 새 실무단을 구성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팔라디노 부대변인은 한국을 방문한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한국 청와대 관리와 외교부, 통일부 등 관련 부처 실무진들과 만나 대북정책과 관련해 논의했으며, 그 결과 중 하나로 새 실무단이 구성된다고 설명했습니다.
팔라디노 부대변인 : 한미 양국은 외교와 비핵화 노력, 제재 이행과 남북 간 협력에서의 유엔 제재 준수를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새 실무단을 구성하기로 합의했습니다. (As a part of that, the two government agreed on establishing new working group to further strengthen our close coordination on diplomacy, on our denuclearization effort, on sanction's implementation and inter-Korean cooperation that comply with UN sanctions.)
팔라디노 부대변인은 비건 특별대표와 그의 팀이 새로운 추가 조치, 즉 한미 실무단을 이끌어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So this is an additional step for taking that special representative Biegun and his team will be leading.)
남북 간 협력이 미북 간 비핵화 논의 진전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팔라디노 부대변인은 미국이 한국, 일본과 같은 동맹국들과 매일 연락을 통해 협조하고 있다며, 동맹국과의 협력이 북한과의 성공적인 협상의 열쇠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미북 실무회담과 고위급 회담 일정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된 바가 없다고 국무부 측은 밝혔습니다.
팔라디노 부대변인은 “비건 특별대표가 북한과의 실무회담 조율을 위해 한국을 방문했다는 보도가 있는데 그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다만, 북한과는 지속적으로 연락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동생 김여정이 미국을 방문해 회담을 가질 수 있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서도 아무것도 정해진 바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