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미 대선 전후 북 도발 우려”

0:00 / 0:00

앵커: 미국과 한국의 북한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는 오는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를 전후한 북한의 도발을 방지하고, 장기적으로는 북한의 비핵화와 경제개발을 위한 실질적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자입니다.

미국의 비영리단체 전미외교정책협의회(NCAFP)가 24일 '2025년 북한: 한반도를 위한 다음 단계(North Korea in 2025: Next Steps on the Korean Peninsula)'라는 주제로 온라인 토론회를 가졌습니다.

토론회 참석자들은 오는 11월 치러질 미국 대통령 선거를 기점으로 북한의 변화가 예상된다며 한반도와 미국의 안보, 그리고 평화를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한국 강원대학교의 정구연 교수는 그동안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제기되는 '10월의 이변(October Surprise)'이 올해엔 북한에 의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며, 그것은 대북제재와 코로나19로 어려워진 북한 내 경제사정을 반영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구연 교수: 북한은 도발을 이용해 다른 국가의 양보를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특히 미국과 그 동맹국들에게 압력을 가함으로써 (북한이 원하는 것을) 쟁점화할 수 있다고 여깁니다.

한국 가톨릭대학교의 마상윤 교수 역시 미국 대통령 선거를 전후한 북한의 도발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장기적으로 평화선언을 통한 종전협정을 체결하고, 한미 양국은 물론 국제사회가 경제발전 계획 등을 북한에 제시할 경우 북한의 도발 방지는 물론 비핵화 협상 및 이행에도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습니다.

마상윤 교수: (하지만 동시에) 북한의 핵시설과 핵물질 리스트, 그리고 이미 북한이 보유하고 있는 각종 무기 리스트를 비롯해 비핵화 이행 시간표 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로드맵이 필요합니다.

미국의 민간 연구기관인 브루킹스연구소의 린지 포드 연구원은 미북 및 남북관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동맹국 간의 결속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포드 연구원: 실제로 해야 할 첫번째 일은, 미국과 그 동맹국들이 북한과의 협상에서 어려웠던 문제에 집중하고 뜻을 같이 해야 합니다. 각국은 어떻게 협상할 것인지, 무엇을 협상 테이블에 올려 놓을 것인지 함께 논의해야 합니다.

한편, 미국 전미북한위원회(NCNK)의 키스 루스 사무국장은 "북한 지도부 관리들은 미국이 예전에 대북 군사행동을 준비했다고 믿고 있다"며 "북한이 위기감을 느낀다면 언제든지 공격을 감행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을 막기 위해선 비핵화와 함께 더 이상의 무기개발을 중단시킬 수 있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