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내년 초 미국의 차기 조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서도 북한이 도발을 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습니다. 지에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워싱턴DC에 위치한 조지워싱턴대 한국학연구소(GWIKS)가 10일 미국 대선 후 한반도 정세에 대한 미국 및 한국 언론인들의 전망을 논의하는 화상회의를 열었습니다.
미국 공영 라디오방송(NPR)의 앤소니 쿤(Anthony Kuhn) 한국특파원은 이날 회의에서, 바이든 차기 미 행정부 초기에 북한이 도발에 나설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지만, 북한이 도발을 원치 않을 수 있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쿤 특파원은 미국을 잘 알고 있는 북한이 차기 미국 행정부의 주요 보직 인선 및 정책 윤곽이 나올때까지 시간이 걸릴 것이란 점을 알고, 중국 역시 북한의 도발을 빠르게 방지하려 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북한은 과거 클린턴 행정부 당시 미북 간 '제네바 기본합의'(Agreed Framework) 및 '페리 프로세스'(Perry Process), 오바마 행정부 당시 '윤일합의'(Leap Day Agreement) 등 과거 민주당 행정부의 대북 관여 노력을 이해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은 과거 민주당 행정부에서 일괄타결(all-in-one) 방식의 비핵화 보다는 이란식 군축합의를 주장한 많은 인사들에 대한 이해도도 높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쿤 특파원: 바이든 참모들은 트럼프 행정부와는 다른 원칙있는 (대북) 외교에 관여할 것임을 분명히 했지만, (북핵) 진전이 가능하다고 생각되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날 의향이 있다는 점을 내비쳤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유력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의 김승민(Seung Min Kim) 백악관출입기자는 이날 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우호적 관계를 가졌던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미국 대선에 대해 아직 반응하지 않는 것은 예상됐던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바이든 차기 행정부는 비핵화 진전이 없는 상황에서 북한과의 우호적 관계로 돌아가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한 상황에서, 임기의 상당부분을 남북 화해에 투자해 온 문재인 한국 대통령이 한국과 다른 입장을 가진 미국과 어떻게 북한을 다뤄나갈 것인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또한, 그는 만약 미국 공화당이 상원을 장악하게 될 경우, 바이든 차기 행정부의 주요 외교안보 인사 중 하나로 거론되는 수전 라이스 전 국가안보보좌관의 상원 인준이 과거 2012년 리비아 뱅가지 사태 등으로 매우 험난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한편, 한국 조선일보의 강인선 외교안보·국제 에디터는 이날 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관여가 실질적 성과인지, 혹은 두 지도자 간 개인적 관계에 국한된 것인지에 대해 차기 바이든 행정부와 한국 정부 간 인식차가 있을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차기 바이든 행정부가 지난 2017년 미북 간 위기상황을 향후 출발점으로 여길 것인지 등 현재 미북관계 상황을 어떻게 평가하는 지에 대해 향후 한미 간 이견이 노정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그러면서 그는 강경화 한국 외교장관이 현재 미국을 방문해 바이든 측 인사를 서둘러 접촉하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성과에 대한 바이든 측의 이해를 높이려는 시도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