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정경두 한국 국방부 장관은 북한의 대남 비난과 미사일 발사에 대해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며 이 같은 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북한에 촉구했습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정경두 한국 국방부 장관은 21일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한 자리에서 북한의 군사적 움직임을 면밀히 파악해 빈틈없이 대응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 행위에 대해서는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며 이 같은 북한의 행위에 대해 “분명하게 중단을 촉구해 왔다”고 강조했습니다.
정경두 한국 국방부 장관 : 한국 군은 북한이 하고 있는 모든 군사행위 하나하나가 직접적인 도발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원색적인 대남 비난에 대해서는 남북관계 개선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정 장관은 “(북한의 대남 비난은) 굉장히 부적절하고 잘못됐다”면서 “북한의 대남 비난에 대해 일일이 대응할 가치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정 장관은 지난 15일 해병대사령부를 대상으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승도 해병대 사령관이 “유사시 함박도를 초토화 시킬 수 있도록 화력 계획을 마련했다”고 발언한 것에 대해서는 “유사시 함박도의 북한 측 감시 장비와 시설들을 표적화해 무력화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날 국정감사에서는 북한이 함박도를 비롯한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의 섬 5개를 2015년 이후 공격형 기지로 전환했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하태경 바른미래당 의원이 공개한 해병대사령부의 자료에 따르면 북한은 갈도와 장재도, 무도 등에 16문의 방사포를 배치했습니다.
하 의원은 “북한이 연평도 부근 5개 섬을 공격형 기지로 전환한 것은 연평도 포격 사건을 복수하기 위한 것”이라며 “당시 한국보다 북한이 더 많은 피해를 봤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정경두 장관은 함박도와 NLL 인근 섬들에서 벌어지고 있는 북한의 군사적 활동에 대해서는 이미 파악하고 있었다며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정 장관은 “장재도와 무도의 경우 2015년 훨씬 이전부터 북한 군에 의해 시설이 들어섰고 이미 그런 사실을 확인하고 있었다”며 “한국 군은 북한의 움직임을 하나하나 보면서 전략적인 판단을 시시각각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정 장관은 9.19 남북 군사합의에 명시돼 있는 남북 군사공동위원회의 구성이 지연되고 있어 안타깝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9.19 남북 군사합의에 따르면 남북은 군사공동위원회를 가동해 여러 군사 현안들을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정경두 한국 국방부 장관 : 남북 군사공동위원회가 구성이 안 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한 발자국을 못나가고 있어서 안타까운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저도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어 정 장관은 “남북 군사공동위원회 구성 등이 잘 진행돼야 남북 군사합의의 실질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