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정권의 숙청은 인권 범죄∙∙∙미북회담서 제기돼야”

0:00 / 0:00

앵커 : 한국의 민간단체인 '북한전략센터'는 북한에 김정은 정권이 들어선 이후 행해진 숙청이 엄연한 북한 인권 범죄라며 강하게 규탄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전략센터는 22일 미국 워싱턴 내셔널프레스클럽(NPC), 즉 언론회관에서 북한 고위관료와 탈북자 25명과 직접 인터뷰한 내용을 바탕으로 김정은 시대 숙청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한국으로 망명한 전 북한 고위관료나 중국과 북한을 왕래하는 현직 고위관료, 탈북자 등의 증언을 근거로 북한에 김정은 정권이 들어선 이후 약 450여명이 처형되거나 숙청됐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전략센터의 강철환 대표는 이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북한문제 해결의 핵심은 핵무기가 아니라 인권 문제라고 주장했습니다.

특히 다음주 베트남, 즉 윁남 하노이에서 열리는 2차 미북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반드시 북한 인권 문제를 제기해야 한다고 강 대표는 강조했습니다.

강 대표 : 이번 보고서를 계기로 북한 문제 해결은 핵 문제가 아니라 북한 인권 문제라는 것을 전 세계가 확신했으면 하는 게 저의 바람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을 만나기 전 꼭 보고 왜 북한 인권 문제를 김정은(위원장)에게 말해야 하는지 깨달았으면 하는게 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강 대표는 특히 2017년 있었던 김정은 위원장의 이복형, 김정남의 암살 사건 등을 언급하면서 김 위원장이 선대와 달리 가족까지 살해하는 등 이전보다 더 무자비한 숙청을 감행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미국 민주주의 수호재단(FDD)의 데이비드 맥스웰(David Maxwell) 선임연구원은 김 위원장의 숙청 행태가 정권 존립을 위해 반인륜적 행위를 저지르는 김씨 일가의 전형을 보여준다며 이는 엄연한 인권 범죄라고 규탄했습니다.

그는 그러면서 이번 2차 미북 정상회담에서 북한 인권 문제가 논의되지 않는다면 결국 실패한 협상이 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맥스웰 연구원 : 우리는 북한 인권문제를 떼어 두고 핵 문제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미국은 비핵화 협상을 약화시킬까봐 북한 인권 문제 제기를 두려워하는데 그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인권 문제를 제기하지 않기 때문에 협상은 실패하는 것입니다.

한편 북한 인권 문제에 오랫동안 관여해 온 DLA 파이퍼 법률회사의 제러드 겐서(Jared Genser) 변호사는 오히려 북한 비핵화 협상에 앞서 북한 인권문제 해결이 우선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북한 주민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미사일이나 핵이 아닌 처형이나 정치범 수용소 수감과 같은 북한 정권의 인권 유린이라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