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운백 “북 종교자유 등 인권문제, 미북회담서 논의 기대”

0:00 / 0:00

앵커 : 미국 국무부의 샘 브라운백 국제종교자유 담당 대사는 북한의 종교자유 불허 등 인권문제가 향후 미북 정상회담에서 논의되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국무부는 29일 2017년 연례 국제종교자유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브라운백 대사는 이날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북한에서 전면적으로 부인되고 있는 종교의 자유 문제가 미북 정상회담에서 논의되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브라운백 대사는 이날 인터넷 사회연결망인 페이스북을 통해 가진 질의응답 시간에 북한의 종교의 자유 증진을 위해 미국 정부가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무엇이냐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문에 이 문제를 계속 부각시키는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브라운백 대사 : 우리가 정말 할 수 있는 것은 북한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부각시키는 것입니다. 수십 만명이 정치범수용소에 있습니다. 북한과 대화를 해나가면서 (종교의 자유) 문제가 계속 거론되게 하고 그러면 북한이 (종교적 이유로 갇힌 사람들을) 정치범 수용소에서 풀어주며 종교 자유 보장이 시작되길 바랍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북한 인권문제에 매우 적극적이기 때문에 미북 정상회담에서 북한 내 종교 자유 문제를 제기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습니다.

1998년 국제종교 자유법에 따라 매년 국무부는 전 세계 국가의 종교 자유 현황을 발표하고 있는데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헌법상으로는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지만 실제로는 주민들의 종교 자유를 완전히 부인하고 있습니다.

보고서는 북한에는 8만명에서 12만명 가량의 주민들이 정치범 수용소에 갇혀있는데 이들 중 상당수가 종교 때문에 수감되어 있다고 밝혔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한해 북한에서 특정 종교를 전파하고 종교 물품을 소지하며 종교활동을 한 이유로 119명이 처형당했고 770명이 수감됐습니다.

특히, 북한 당국은 기독교에 대해 김씨 정권의 개인우상화에 위협이 되고 정부 밖의 사회, 정치적 조직 형성의 기초가 되며, 또 서방의 침략 수단으로 여겨 기독교인에 대한 탄압이 극심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습니다.

기도, 찬송, 성경 읽기 등 기독교 활동을 하다 붙잡히면 정치범 수용소에 수감되고 있다며 종교를 이유로 정치범 수용소에 수감된 사람 중 최대 45%가 기독교인이라는 것이 보고서의 분석입니다.

기독교인들은 또한 북한 사회에서 성분이 낮아 교육, 고용, 거주 등에서 차별을 받고 있고 북한 당국으로부터 기독교는 악이라는 교육을 받아 일반 주민들 사이에서 기독교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이 많다고 보고서는 밝혔습니다.

이러한 종교 자유의 부인으로 북한에서는 종교를 갖고 있는 사람이 1950년 전체 인구의 24%에서 2002년에는 0.016%로 감소했다고 보고서는 밝혔습니다.

이런 까닭에 미국 국무부는 2001년부터 지금까지 매년 북한을 종교의 자유가 심하게 침해받는 특별우려대상국으로 지정해왔다는 것이 브라운백 대사의 지적입니다.

한편, 미국 국무부는 오는 7월 25일부터 이틀 간 전 세계 정부 관계자, 종교 지도자, 인권운동가, 시민단체 지도자 등을 초대해 국제 종교자유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하는 회의를 워싱턴 DC에서 열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