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국제기구 관계자들이 유엔의 대북 제재로 인한 대북 인도적 지원의 어려움을 토로했습니다. 뉴욕에서 정보라 기자의 보도입니다.
카타리나 젤위거 스탠포드대학 국제안보협력센터(CISAC) 연구원은 25일 뉴욕의 민간단체 코리아소사이어티의 초청으로 대북 인도적 지원 활동 상황에 대해 강연했습니다.
2006년부터 5년 간 스위스 개발협력처(SDC) 평양 사무소장으로 일한 젤위거 연구원은 2015년 홍콩에 기반한 비영리기구를 설립한 이후 대북 지원 활동사항을 소개하며 유엔 대북제재 여파를 경험하고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젤위거 연구원: 원래 인도주의 활동은 대북 제재로 인해 위축돼서는 안되지만, 현실적으로는 그렇지가 않습니다. 지원 활동을 하는 데 필요한 물품을 수입해야 하는데 대북 제재 품목 대상인 금속 제품이거나, 또 거래 은행이 없어 송금할 때 불편함이 있습니다.
유엔 관계자들이 많이 참석한 이날 행사에서는 젤위거 연구원의 발언에 이어 다른 비영리기구 관계자들도 같은 입장을 나타냈습니다.
유엔 산하 인도주의 부서의 한 관계자는 “유엔 기구들도 대부분 북한으로의 송금 문제에 따른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은행들이 거래를 꺼려한다”고 말했습니다.
국제구호단체 메노나이트 중앙위원회의 덕 호스테터 유엔 사무소장은 “비누, 칫솔 등이 포함된 위생용품 세트를 북한으로 보내려다 유엔 제재 대상 품목인 금속제품에 속하는 손톱깍기 때문에 보내지 못한 적이 있다”며 대북 제재가 특정 인도주의적 지원 물품에 적용되지 않는 조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원 활동에 크고 작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유엔의 한 관계자는 대북 제재의 근본적인 목표는 비영리 기구들의 인도주의적 활동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지만, 제재의 여파로 부득이하게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현실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북한의 전반적인 식량사정과 관련해 젤위거 연구원은 “과거에 비해 많이 나아졌다”며 여기에는 북한 자체적인 수확량 증가, 주민들 스스로 자급자족 방편을 마련한 것, 시장경제의 활성화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