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북 중앙군사위 회의, 새 전략노선 군차원 입장정리”

0:00 / 0:00

앵커 : 북한이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확대회의를 통해 '새로운 전략 노선'에 대한 입장을 정리했을 것이라고 한국 정부가 밝혔습니다. 한국 내에서는 북한이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을 앞두고 현 상황에 맞는 안보전략을 조정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통일부가 북한이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1차 확대회의를 통해 ‘새로운 전략노선’을 추진하기 위한 군 차원의 입장을 정리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지난 4월 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3차 전원회의에서 새롭게 채택된 전략노선인 ‘사회주의 경제건설’을 위해 군 차원의 지원 방안이 논의됐을 것이란 분석입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 : 김정은 위원장이 당 중앙위 제7기 3차 전원회의 결정사항을 관철시키라고 강조한 점이 보도됐습니다. 이런 새로운 전략 노선에 대한 북한 군 차원의 나름대로의 입장 정리가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 전문가들은 미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당 중앙군사위 확대회의가 개최됐다는 점에 주목합니다. 미국과 비핵화 논의를 앞두고 있는 북한이 현 상황에 맞는 안보전략을 조정할 필요가 있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오경섭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 북한은 향후 이뤄질 수 있는 비핵화 수준과는 무관하게 미국과의 협상 상황에 맞는 안보전략을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문제가 당 중앙군사위 확대회의에서 논의됐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당 중앙군사위 확대회의는 미북 정상회담에서 비핵화 논의가 이뤄지기 때문에 북한 군부에 이와 관련된 상황을 설명하는 차원에서 열렸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은 “미북 관계가 개선되면 북한 군의 역할이 축소될 가능성이 있고 이에 따라 군의 동요가 일어날 수 있다”며 “이를 다독이기 위한 차원에서 확대회의가 개최됐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 위원장이 이번 회의에서 “당 중앙위 제7기 제3차 전원회의 결정사항을 관철시키라”고 강조한 점도 주목됩니다. 이는 미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에 보내는 메시지일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지난 4월 열린 당 전원회의에서는 경제 발전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새로운 전략 노선이 채택된 바 있습니다.

오경섭 연구위원은 “북한 군 인력들을 경제개발, 건설 등의 분야에 투입시키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며 “북한이 미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비핵화 의지를 미국에 보여주려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18일 당 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1차 확대회의가 진행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자리에서는 국가방위사업 전반의 개선을 위한 조직 문제가 토의됐습니다. 북한은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습니다.

한편 북한은 남북 고위급회담, 미북 정상회담과 관련한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장과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의 발언을 북한 내부 매체에 일절 보도하지 않고 있습니다.

리선권 위원장은 지난 17일 “남북 고위급회담을 중지시킨 엄중한 사태가 해결되지 않으면 한국 정부와 마주앉는 일은 쉽게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김계관 제1부상도 지난 16일 미북 정상회담을 재고할 수 있다며 미국을 비난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