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과 독일을 왕래하며 독일의 대북정책을 맡아온 독일 외교부의 한반도 담당관은 지난해 미북 양국이 대화를 시작한 데 이어 올해는 비핵화를 위한 구체적인 합의사항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얀 야노푸스키(Jan Janowski) 독일 외교부 한반도 담당관(First Secretary on DPRK issues)은 17일 워싱턴 DC에서 자유아시아방송(RFA)과 만나 독일 정부는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CVID)를 최종 목표로 하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며, 올해는 비핵화 이행과 관련해 진전이 이뤄질 때라고 지적했습니다.
야노푸스키 한반도 담당관 : 지금은 비핵화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할 단계입니다. 2019년에는 비핵화의 기술적인 면, 일정과 순서, 이행 단계가 도출되기를 희망합니다.
야노푸스키 담당관은 지난해 미북 간 역사적인 첫 정상회담과 같은 외교적 노력으로 한반도 정세가 핵 위협에서 대화 국면으로 전환된 점은 환영한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독일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바라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는 데까지는 갈 길이 멀다고 그는 평가했습니다.
야노푸스키 담당관은 비핵화 협상의 당사자는 미국과 북한이지만 유엔 회원국 등 국제사회가 함께 비핵화를 위한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그러면서 독일은 평양과 베를린에 있는 양국의 대사관을 이용해 외교를 통한 핵협상을 하도록 북한 측에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야노푸스키 한반도 담당관 : 우리는 북한 측에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최선희 외무성 부상 간 실무회담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1월에는 (베를린에 있는) 북한 대사관 관계자를 만나 독일 정부는 북한이 미국이 요구한 비핵화의 기술적인 면에 대해 논의하길 기대한다는 점도 분명히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