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내 탈북자 “북 비핵화 의지 환영”

0:00 / 0:00

앵커 : 북한이 오는 5월 미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비핵화 의지를 밝힌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일본 내 탈북자와 조총련(재일조선인총연합회) 관계자들이 이를 환영하고 지지한다는 소식입니다. 일본 도쿄에서 폴 김 기자가 전합니다.

일본에서 가게를 운영하는 탈북자 김 모씨는 14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 만나 최근 남북관계 개선과 남북, 미북 정상회담 소식을 접하면서 북한이 비핵화 약속을 지킬 경우 일본 내 탈북자의 지위와 처우가 더 좋아질 것이란 기대감을 갖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특히 북한이 일본인 납치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려 한다면 북일 관계가 한층 더 개선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또다른 일본 거주 조선적 출신 청년 사업가도 이날 자유아시아방송에 실제로 조총련과 관련있는 재일동포 청년들과 상공인들은 북한의 비핵화 의지와 미북 정상회담 개최 등을 지지하지만 이러한 입장을 대외적인 처지 때문에 드러내놓고 표명하진 못한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한국 여권을 소지하고 한국을 자유롭게 드나드는 조선적 출신들이 북한 관련 소식을 자주 접하고 있다면서 재일동포 청년들은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에 참가한 북한 응원단들의 뒷이야기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보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일본에 거주하는 조선학교 출신 재일동포 청년과 상공인을 주축으로 북한 비핵화 의지를 지지하고 환영하는 분위기가 감지되는 상황이지만 조선신보를 비롯한 조총련 관련 매체들은 비핵화 의지와 관련해 아직 이렇다할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의 김동엽 교수는 최근 인터넷 사회연결망 ‘페이스북’을 통해 4월 남북 정상회담과 5월 미북 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한 상황에서 북한의 공식 입장이 나오지 않은 이유는 북한이 중국과의 관계를 고려했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김 교수는 현재 미중관계에서 북한이 미국에만 접근해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없다며 당면한 체제 안전보장은 중국의 도움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북한 측도 정확히 인식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또 북한 당국이 내부적인 차원에서 주민들이 반발없이 비핵화 의지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최대한 속도조절을 하려는 의도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그간 대북 최대한의 압박만 줄곧 주창해 오던 일본 정부가 북일 정상회담을 모색 중인 것으로 14일 알려졌습니다.

일본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 관계자는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을 위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직접 대화가 불가피하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