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 통일부가 북한의 풍계리 핵실험장이 위치한 함경북도 길주군 인근 출신 탈북민 대상의 피폭 전수조사를 올해부터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통일부는 24일 최근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에 위치한 핵실험장 주변에서 방사능이 누출됐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데 대해 우려를 갖고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효정 한국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기자설명회에서 이같이 밝히며 북한의 1차 핵실험 이후 탈북한 길주군과 인근 지역 출신 탈북민 881명을 대상으로 피폭 검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이효정 한국 통일부 부대변인 : 북한의 1차 핵실험 이후 탈북한 길주군과 인근 지역 출신 탈북민 881명 중 당사자의 동의를 얻어서 대상자를 선정한 다음에 피폭 검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앞서 통일부는 지난 2017년과 2018년 길주군과 인근 지역 출신 탈북민 40명을 대상으로 피폭 검사를 실시한 바 있습니다. 당시에는 총 9명, 즉 약 22.5%의 검사자들에게서 방사선 피폭 흔적이 검출됐습니다.
다만 이를 통해선 핵실험에 따른 인과관계나 별도 치료가 필요한 피폭 사례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것이 통일부의 입장입니다.
이효정 부대변인은 당시에는 대조군이 없었고 표본 수가 한정적이었으며 흡연과 중금속 등 교란변수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가 부족해 조사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웠다며 보다 의미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 전수조사를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피폭 검사는 탈북민의 방사능 영향과 건강상태 확인을 위해 일반 건강검진과 병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한국의 인권조사기록단체인 전환기정의워킹그룹(TJWG)은 지난 21일 발표한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방사성 물질의 지하수 오염 위험과 영향 매핑’ 보고서에서 풍계리 핵실험장 인근 지역 주민 수십만 명이 방사성 물질 유출과 물을 통한 확산 위험에 처해있다는 분석을 제기한 바 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당국에 핵 개발과 핵실험을 즉각 중단할 것, 풍계리 핵실험장 방사성 물질의 지하수 오염 의혹에 대해 조사하고 그 결과를 공개할 것 등을 촉구했습니다.
또 한국 정부는 피폭 검사를 희망하는 풍계리 인근 지역 출신 탈북민 전원에 대한 검사를 재개하고 그 결과를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전환기정의워킹그룹은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현지시간으로 24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해당 보고서를 소개하는 세미나를 연다고 밝혔습니다.
행사는 스웨덴의 독립연구재단인 ‘개혁·기업가정신·지속가능성을 위한 포럼(FORES)’의 주최로 이루어지며 스웨덴 내 연구기관 연구자, 정부관계자, 각국 외교관, 언론인, 비정부기구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할 예정입니다.
기자 이정은,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