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미 양국 북핵 수석대표들은 미국 국무부 청사에서 만나 북한에 대한 새로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추진에 의견을 모았습니다. 보도에 한덕인 기자입니다.
성 김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는 4일 노규덕 한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협의 후 국무부 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최근 대륙간탄도미사일 등 무력시위에 대응해 새로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 대표는 이날 노 본부장과의 협의에서 북한의 일련의 미사일 발사는 다수의 유엔 결의를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면서 “북한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위에 대한 유엔 안보리의 강력한 대응의 중요성에 동의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는 다만 미국이 여전히 외교에 열려 있다는 점 또한 분명히 했다면서 향후 외교적 진전을 결심하는 것은 정말 북한에 달려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노규덕 본부장도 “미국은 북한과의 대화에 열린 입장임을 재확인했고, 북한에 대한 관여 노력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북한이 “더 이상의 상황 악화 조치를 자제하고 대화와 외교로 복귀할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고 전했습니다.
미 국무부는 한미 양국 북핵수석대표 간의 협의가 끝난 뒤 보도자료를 통해 “양측 대표는 지난 3월 24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했다”면서 “이같은 긴장을 고조시키는 북한의 조치에 대한 강력하고 통일된 대응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김 특별대표는 한국의 안보에 대한 미국의 철통같은 약속을 강조하면서 미국은 북한과의 진지하고 지속적인 대화를 계속 모색하고 있음을 재확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나아가 “김 특별대표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공동의 목표를 진전시키기 위해 한국과의 긴밀한 양자 협력을 비롯해 동맹국 및 동반자들과의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4일 국무부 정례기자설명회에 나온 캐런 챈들러(Karen Chandler) 국무부 산하 정무국 프로그램 및 업무담당 차관보 대행(Acting Deputy Assistant Secretary for Programs and Operations Bureau of Political-Military Affairs)은 이날 핵무기 등 대량살상무기 외에도 북한과 재래무기 감축 또는 폐기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 적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질문을 받고 북한과는 관련 사안에 대한 논의가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
챈들러 차관보 대행 : 재래식 무기를 폐기하는 프로그램과 관련해 북한과는 어떠한 대화도 오가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리가 이같은 재래무기 폐기 프로그램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먼저 주최국 정부로부터 이같은 프로그램에 참여하겠다는 요청과 이를 돕겠다는 의지 표명이 필요합니다. 현재 북한에 대한 이같은 프로그램은 없는 상황입니다. (We do not have any type of active dialogue on conventional weapons destruction with North Korea. In order for us to have a conventional weapons destruction program in the country, we need have a request from the host government and a host government that is willing and able to help us implement that program. There is no such program for Korea at this point.)
이런 가운데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지난 1일 유엔에서 채택된 북한인권결의안에 4년 연속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하지 않은 한국 정부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묻는 질문을 받고 한국의 결정에 대해 따로 논평하지 않겠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미국은 “과거부터 북한의 인권 상황에 대한 우리의 깊은 우려에 대해 매우 분명히 말해왔다”고 전했습니다.
아울러 다음달 교체되는 차기 한국 윤석열 정권과의 대북정책 공조와 관련해서는 미국을 방문 중인 한미 정책협의 대표단과도 조율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한국과의 동맹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와 번영을 위한 핵심이며, 앞으로도 북한이 제기하는 도전에 대해 한국을 비롯한 우방국들과 계속 협력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기자 한덕인,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