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미 양국의 북핵수석대표가 만나 북한이 향후 핵실험 등 추가 도발을 할 경우 함께 단호히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18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만난 한미 양국의 북핵수석대표.
노규덕 한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미국을 방문해 지난 4일 워싱턴 DC에서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를 만난 지 2주 만의 회동이었습니다.
김 대표는 이날 한미 북핵수석대표 협의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양측이 최근 이뤄진 북한의 긴장 고조행위에 대한 규탄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에 핵실험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는 분명한 신호를 보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여러 개의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한 것입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의 단계적인 핵실험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는 분명한 신호를 보내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김 대표는 한미가 북한의 불안정 조장 행위에 대한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최근 세 차례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포함해 북한이 올해 감행한 탄도미사일 발사를 논의했고, 핵실험 가능성을 포함해 향후 북한의 행보에 어떻게 대응할지도 협의했다고 말했습니다.
김 대표는 한미가 이날 시작한 전반기 연합지휘소훈련을 언급하며 양측이 한반도에서 가능한 한 가장 강력한 연합 억지력을 유지해야 할 필요에 동의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도 한미가 북한에 대한 외교적 접근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북한과 언제 어디서든 아무런 조건 없이 만날 준비가 돼 있다는 기존 입장을 거듭 확인했습니다.
한국 측 북핵수석대표인 노규덕 본부장은 이 자리에서 “김 대표와 2주 만에 다시 머리를 맞댄 것은 그만큼 정세가 대단히 민감한 시점에 접어들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며, 북한이 핵과 미사일 전력 증강을 공언하는 만큼 김 대표와 북한의 긴장 고조행위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를 공유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북한의 핵실험과 ICBM 발사 등이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는 점을 지적하며, 한미가 유엔 차원에서 이에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노규덕 한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북한이 핵실험과 ICBM 발사 등 고강도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 행위를 강행할 경우 한미는 물 샐 틈 없는 공조를 바탕으로 UN안보리 등에서 강력하게 대응해 나가기로 하였습니다.
노 본부장은 “김 대표와 한미 간의 굳건한 연합 방위태세를 유지해나가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며 “김 대표는 한국에 대한 미국의 확고한 방위공약을 재확인했다”고 전했습니다.
김 대표는 이날 북핵수석대표 협의 전 모두발언을 통해서 “이번 방한은 미국, 그리고 한국을 포함한 동맹의 안보를 보호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또 다른 징후”라며 한국의 중요한 정권 교체기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을 비롯해 한국과의 긴밀한 협력을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한미는 이날 북한이 하루 전 신형 전술유도무기 시험 발사 사실을 공개한 것과 전술핵 운용성 강화 계획을 언급한 것 등으로 인해 긴장이 고조되는 한반도 정세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김 대표는 한국 현 정부 및 차기 정부와 북핵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이날 4박 5일 일정으로 방한 일정을 시작했습니다.
이번 김 대표의 방한에는 미국의 북핵 차석대표인 정 박 대북정책특별부대표도 동행했습니다.
기자 홍승욱,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