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권영세 한국 통일부 장관은 한미·한미일 관계가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시점이라고 평가하면서, 이제는 중국과 북한 핵 문제를 풀어나갈 시점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권영세 한국 통일부 장관은 19일 “두 차례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한미 간 신뢰관계는 회복이 됐다”며 한미, 한미일 관계가 안정을 찾았다는 평가를 내놓았습니다.
권영세 한국 통일부 장관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한미 관계, 한미일 관계가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았으니까 앞으로 중국과의 대화를 통해서 경제적인 문제도 풀어 나가고, 그 다음 북핵 문제 등 북한 문제도 풀어 나갈 시기가 됐다고 생각합니다.
권 장관은 앞으로 중국과 대화하면서 북한 핵 문제와 경제 문제를 풀어나갈 시기가 됐다며, 여기에 필요한 미국의 확고한 뒷받침을 지난 정상회담을 통해 확보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이른바 ‘미·중 간 줄타기 외교’ 필요성에 대해선 “양쪽으로부터 다 버림받는 박쥐에 대한 우화가 있다”며 “요즘같이 불안한 상황에선 축을 분명히 만든 뒤에 양쪽과의 관계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한미동맹에 중심을 둔 채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해야 한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권영세 한국 통일부 장관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서 동맹을 획기적으로 강화시킨 것은 역설적이라고 생각하실지 모르지만 한국이 향후 중국과 대화를 하는 데 있어서도 한국 측 재량의 여지가 굉장히 커졌다는 점에서 무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주중한국대사를 지낸 권 장관은 중국이 최근 대만 문제와 관련해 한국을 압박하는 것에 무리한 부분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국이 이른바 ‘하나의 중국’ 원칙과 ‘분쟁의 평화적 해결’ 원칙을 지지한다는 사실을 계속해서 밝혀왔고 중국도 이에 동의하고 있다며, 그런 면에서 한국 측 발언이 중국을 자극했다는 일방적인 평가에는 문제가 있다는 것입니다.
앞서 중국은 지난달 열린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에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 유지의 중요성’이 언급되자 크게 반발한 바 있습니다.
권 장관은 북한이 발사를 예고한 군사정찰위성과 관련해선 ‘대단한 기능을 갖는 것은 아니다’라는 전문가들의 견해를 전했습니다.
다만 정찰위성 발사체 기술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에 적용될 수 있는 만큼, 유엔 등 국제사회가 이를 심각하게 지켜보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윤석열 한국 대통령은 이날 G7, 주요 7개국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일본 히로시마로 출국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오는 21일로 예정된 6개월 만의 한미일 정상회담과, 같은 날 열릴 2주 만의 한일 정상회담 등을 통해 북한 핵·미사일 위협 등 도전 과제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합니다.
특히 지난해 11월 캄보디아(캄보쟈) 프놈펜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 성명에 포함된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 실시간 공유’를 실행하기 위한 방안을 협의할 예정입니다.
이번 G7 정상회의는 일본 히로시마에서 19~21일 사흘 간의 일정으로 진행되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이번 회의를 통해 ‘핵무기 없는 세계 실현을 위한 결의’를 확인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기자 홍승욱,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