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카자흐 “북 핵∙미사일시설 폐기 참관 용의 있다”

0:00 / 0:00

앵커 : 북한이 유관국 전문가들의 참관 하에 동창리 미사일 엔진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를 영구적으로 폐기하고, 미국의 상응조치에 따라 영변 핵시설도 폐기할 뜻이 있다고 밝힌 가운데, 호주, 즉 오스트랄리아와 카자흐스탄도 참관 요청만 있다면 조사단을 파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호주 외무부 대변인은 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호주는 독자적인 검증이 비핵화 과정의 일부가 돼야 한다고 반복해서 말해 왔다”며 “북한이 국제 사찰단에게 시설 해체를 확인하도록 허용한다면, 우리는 이러한 노력에 호주의 전문성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Australia has repeatedly said that independent verification should be part of any denuclearisation process. Should North Korea allow international inspectors to verify dismantlement of its facilities, we would offer Australian expertise to this effort.)

이는 북한이 핵∙미사일 관련 시설을 폐기하는데 유관국의 참가를 허용하겠다고 밝힌 데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이어 호주 외무부 대변인은 “9월19일 남북 정상 간 회담과 한반도 긴장을 완화하려는 이들의 노력들을 환영한다”고 말했습니다. (Australia welcomes the 19 September summit between the leaders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nd their efforts to reduce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그러면서 호주 정부는 “북한이 핵 및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을 금지하는 유엔 안전 보장이사회 결의를 준수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검증 가능한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습니다. (Australia continues to call on North Korea to take concrete and verifiable steps to comply with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that ban its nuclear and ballistic missile programs.)

호주는 과거 북핵 6자회담의 당사국이 아니였지만,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해 6자회담의 ‘제 7 국’ 이라고 불리기도 했고 미국, 영국, 스웨덴과 함께 지난 2010년 천안함 폭침 사건 관련 민군합동조사단으로 참가한 바도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과거 핵보유국이었던 중앙아시아의 카자흐스탄도 최근 북한의 핵미사일 폐기를 위한 전문가 참관단을 파견할 의사를 밝혔습니다.

지난달 27일 카자흐스탄의 카이라트 압드라크마노프(Kairat Abdrakhmanov) 외무장관은 “카자흐스탄은 복잡한 비핵화에 성공한 특별한 경험이 있다”며 “북한의 비핵화에 필요한 기술과 전문성을 공유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압드라크마노프 장관 : 카자흐스탄은 특별한 경험과 기술적 전문성, 투명한 비핵화 과정에 대해서 공유할 준비가 돼 있습니다. 카자흐스탄이 비핵화에 성공했듯이 북한도 카자흐스탄처럼 비핵화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합니다.

압드라크마노프 장관은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지난 27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북한 비핵화를 주제로 주재한 안보리 장관급 회의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카자흐스탄은 1991년 옛 소련 붕괴와 함께 갑작스럽게 핵무기를 물려받게 됐습니다. 이후 미국과 나토, 즉 북대서양조약기구의 압박을 받게 된 카자흐스탄은 1992년부터 1995년까지 핵무기 1000여 기와 전략 폭격기 등을 러시아에 넘겼습니다.

이 과정에서 미국은 샘 넌, 리처드 루가 전 상원의원이 공동 발의한 '넌-루가법'을 통해 경제적으로 지원했습니다. 옛 소련 붕괴 후 카자흐스탄과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등이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핵 폐기에 따른 기술과 자금을 지원 받았습니다.

한편, 러시아 외무부는 2일 북한 핵∙미사일 관련 시설 폐기 참관 의사를 묻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문에 지난달 19일 남북 정상회담 당시 발표한 성명과 입장이 같다고만 답했습니다.

당시 러시아 외무부는 성명을 통해 미국이 평양 공동선언에 명시된 북한이 동창리 미사일 시험장 해체와 영변 핵시설 폐쇄 약속에 호응해 지난 6월 미북 정상 공동성명에 부합하는 건설적 화답 행보를 취해줄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스위스와 스웨덴 즉 스웨리예가 지난달 북한에 전문가 참관단을 파견할 의사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힌 바 있습니다.

남북한 정상은 지난달 19일 평양선언을 통해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폐기를 유관국 전문가 참관 하에 진행하기로 합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