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의 전문가들은 이번 주 열릴 한미 북핵 수석대표 협의에서 미북 실무협상의 실질적 성과 도출을 위한 사전 조율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서울에서 서재덕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외교부에 따르면 이도훈 한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오는 9일부터 12일까지 독일을 방문해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와 만납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 국무부는 지난 6일 비건 대표가 오는 10일부터 11일까지 독일 베를린을 방문해 북한의 최종적이고 완전히 검증된 비핵화, FFVD 달성을 위한 한미 공동의 노력을 진전시키기 위해 이 본부장과 만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 외교부는 미북 양측이 이번 협의에서 미북 판문점 회동 등 최근 정세를 평가하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의 실질적 진전을 위한 협력방안에 대해 협의한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내 전문가들은 미북 비핵화 실무협상을 앞두고 한미가 사전 조율을 갖기 위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박원곤 한동대 교수 : 지난 미북 판문점 회동 이후 다시 한 번 한미 간 서로 입장을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할 겁니다. 미북 실무회담을 앞두고 있으니까 북한 측에도 누가 나올지 (사실상) 정해진 상황이고 비핵화와 관련해 북한에게 어떤 입장을 전달할 지 최종적으로 한미가 공조하는 자리라고 생각이 됩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판문점 회동에서 2~3주 이내 미북 실무협상 재개를 예고한 바 있습니다.
한국 내 전문가들은 이번 회동에서 북한의 비핵화에 따른 미국의 상응조치에 대한 논의도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김현욱 국립외교원 교수 : 미국 측은 대북 인도지원과 연락사무소 설치 등을 고려하고 있다는 얘기가 있고 한국 측은 개성공단이나 금강산 관광 재개라든지 남북관계를 유리한 쪽으로 상응조치를 만들어가려고 하고 있을 겁니다. 그런 부분에 대해 한미 양국이 북한과 실무협상에 들어가기 전에 입장조율을 해야 하는 부분이 아닌가 싶습니다.
한국의 전문가들은 다만 한미가 미국의 상응조치에 대해 입장을 조율하더라도 북한이 향후 실무협상에서 이를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라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이 원하는 것은 결국 대북제재 해제인 만큼 인도적 지원이나 연락사무소 설치 등의 조치로 북한의 비핵화 진전을 끌어낼 수 있을지 여전히 불투명하다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