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외교차관 “북 핵실험 시 전례 없이 강력한 대응”

0:00 / 0:00

앵커 : 북한의 7차 핵실험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가운데 한국, 미국, 일본의 외교차관은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할 경우 전례 없이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입니다.

26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

미 국무부 보도자료에 따르면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 조현동 한국 외교부 제1차관,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 모리 다케오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은 이날 협의회에서 최근 북한의 잇단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한 우려를 공유했습니다.

셔먼 부장관은 협의회가 끝난 뒤 공동 기자회견에서 북한에 추가 도발 행위를 자제할 것을 촉구하며 북한과 전제조건 없이 대화하겠다는 의지는 여전하다고 밝혔습니다.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 : 북한의 이 모든 행동은 무모하며 지역을 불안정하게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북한에 추가 도발 행위를 자제할 것을 촉구합니다. 우리는 여전히 조건 없이 북한과 대화에 나설 용의가 있습니다.

(All of this behavior, all of it, is reckless and deeply destabilizing to the region. We urge the DPRK to refrain from further provocations and we remain committed to have dialogue with the DPRK without preconditions.)

또 북한은 올해 전례 없는 빈도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해왔고 그 중 하나는 일본 상공을 통과해 일본 국민에게 심각한 위협을 가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더해 더욱 큰 문제는 북한이 최근 발사를 전술핵무기의 잠재적 사용을 위한 준비로 규정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조현동 제1차관은 북한이 공세적인 핵무력 정책을 채택하며 핵무기 사용 위협을 노골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미일 3국이 긴밀한 공조를 지속하고 북한의 핵실험에는 전례 없이 강력히 대응하기로 했다고 말했습니다.

조현동 한국 외교부 제 1차관: 특히 3국은 북한이 끝내 7차 핵실험을 감행할 경우 전례 없이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습니다.

그러면서 한미연합 방위 태세와 한미일 안보 협력을 통해 압도적 역량으로 대북 억지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모리 다케오 사무차관은 한미일 3국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역내 억지력 강화 그리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등을 통한 대응 등과 관련 더욱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날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는 지난 6월 서울에서 열린 후 4개월 만에 개최됐습니다. 다음 협의회는 내년 1분기에 미국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북한은 올해 들어 탄도미사일은 24차례, 순항미사일은 3차례 발사했습니다. 특히 지난 4일에는 5년 만에 처음으로 일본 상공을 통과하는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을 쏘아올린 바 있습니다.

기자 이정은,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