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미북, 사실상 적대관계 종식·평화시대 선언”

문재인 대통령이 2일 오전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2일 오전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0:00 / 0:00

앵커 :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은 미북 정상이 판문점 회동을 통해 사실상 적대관계를 종식하고 새로운 평화 시대를 선언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은 2일 미북 정상 간의 판문점 회동 이후 처음 가진 국무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만남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특히 미북 정상이 사실상 적대관계를 종식하고 새로운 평화 시대의 시작을 선언했다고 말했습니다.

문재인 한국 대통령 : 미북 간에도 문서상의 서명은 아니지만 사실상의 행동으로 적대관계의 종식과 새로운 평화 시대의 본격적인 시작을 선언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문 대통령은 이어 “향후 이어질 미북대화에 있어 판문점 회동의 의미를 되새기면서 대화의 토대로 삼는다면 훌륭한 결실이 맺어질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습니다.

한미 대통령이 비무장지대(DMZ)를 함께 방문한 것은 사상 처음이라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한미의 대통령이 군복이 아닌 양복과 넥타이 차림으로 DMZ 최전방 초소를 방문한 것은 사상 최초”라며 “남북관계 개선과 미북대화의 진전이 서로 선순환 관계에 있다는 사실을 다시 강조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방탄복을 입지 않은채 DMZ를 방문하고 화살머리고지에서 발굴된 유품을 참관했다고 언급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안보와 평화가 절박하다는 데 공감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개성공단이 남북경제와 한국의 안보에 미친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또한 군사분계선으로부터 40km 떨어진 수도권에 한국 인구 절반과 미국인 10만여 명 이상이 거주하고 있다는 점도 언급했습니다.

판문점 회동을 성사시킨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과감한 조치에 대해서는 “상식을 뛰어 넘은 놀라운 상상력의 산물”이라고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한 회동 제안과 이를 수용한 김 위원장의 결단은 상식적인 외교 관례에서 벗어난 사례였다는 겁니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과 김 위원장의 과감한 호응은 기존의 외교 문법 속에서 생각하면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일”이라며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이라는 역사적 과제의 해결을 위해서도 이 같은 끊임 없는 상상력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청와대는 미북이 사실상 적대관계를 종식하고 평화 시대를 선언했다는 문 대통령의 평가에 대해 “미국 대통령이 처음 북한 땅을 밟고 최전방 초소에 군복을 입지 않고 간 행위 자체가 평화 시대를 시작했다는 의미”라고 말했습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번 미북 판문점 회동이 ‘3차 미북 정상회담’인지, 단순한 만남인지에 대해 “미북 정상은 짧은 인사와 조우가 아니라 50분가량 만나 대화했다”면서 “청와대가 회동인지, 회담인지를 규정하는 것은 조심스럽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 외교부는 미국 측이 미북 판문점 회동의 상세한 내용을 한국 정부에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인철 한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기자설명회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미국 측 특정 인사로부터 상세한 설명을 들었다”며 “미북 간 대화 결과는 외교부 각 급에서 수차례 공유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