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스 “김여정을 피하지 않고 무시했을 뿐이다”

미국의 마이크 펜스 부통령(오른쪽)이 14일 미국 매체 '악시오스'와 인터뷰하는 모습.
미국의 마이크 펜스 부통령(오른쪽)이 14일 미국 매체 '악시오스'와 인터뷰하는 모습. (사진제공-악시오스)

0:00 / 0:00

앵커: 미국의 마이크 펜스 부통령은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기 전에는 대북제재를 해제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이 대북 대화에는 열려 있지만 이는 협상이 아니라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펜스 부통령은 14일 미국 매체 ‘악시오스(Axios)’와 회견에서 북한의 핵개발 야욕에 대한 경제, 외교적 압박은 더 강화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핵개발을 포기할 때까지 제재 해제는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이 핵프로그램 추구를 포기할 때까지 미국의 대북 제재∙압박 입장에는 아무런 변화도 없을 것이란 설명입니다.

그는 이어 북한이 완전히 또 검증가능하게 미사일 프로그램도 포기해야 한다면서 그런 상황이 됐을 때만 미국이나 국제사회의 대북 입장에 변화를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펜스 부통령은 미국이 대북 대화에 열려 있는 입장이지만 그것이 대북 협상을 의미하지는 않는다(talking is not negotiating)고 지적했습니다.

펜스 부통령은 또 미국이 북한의 핵과 탄도미사일 위협에 대응할 실현가능한(viable) 군사 대안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대북 압박과 관련한 한미일 3국의 공조에는 빛 샐 틈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북한을 지구상에서 가장 전제적이고 폭압적인 정권이라고 지적하면서 감옥국가(prison state)와 다름 없다고 말했습니다.

펜스 부통령은 이어 최근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북한 김여정 당 제1부부장을 외면한 것과 관련해 자신은 독재자의 여동생을 회피한 것이 아니라 무시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 측 입장에서 김 제1부부장에게 어떤 관심이라도 표명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란 설명입니다.

(I didn’t avoid the dictator’s sister, but I did ignore her…I didn’t believe it was proper for the USA to give her any attention in that forum.)

한편 요르단을 방문한 미국의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은 14일 기자들과 만나 요르단이 국제사회의 대북압박 노력에 협력하는 데 사의를 표한다고 말했습니다.

틸러슨 장관은 특히 요르단이 북한과의 관계를 끊기로 한 최근의 결정을 인지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국제사회의 압박은 북한이 비핵화 대화에 나서게 하기 위한 것이라는 입장을 거듭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