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오는 5월 미북 정상회담이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마이크 펜스 부통령은 북한의 핵폐기까지 대북 압박을 지속할 뜻을 거듭 밝혔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펜스 부통령은 22일 미국 동부 뉴햄프셔주에서 열린 공화당 모금행사에서 “우리는 북한이 핵 프로그램을 완전히 폐기하고 미국과 우리 동맹국들에 대한 위협을 멈출 때까지 최대한의 압박을 가하는 일을 늦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그는 “전 세계가 지켜봤듯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최대한의 압박 작전은 효과를 발휘하고 있고, 우리는 진전이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미국과 동맹국들에 대한 북한의 도발과 위협의 결과로, 트럼프 대통령은 전략적 인내의 시대가 끝났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란 핵협정과 관련해서 펜스 부통령은 “우리는 이란의 불안정한 역내 행동들을 더 이상 용인하지 않겠다는 점을 명확히 했고, 미국은 더 이상 형편없는 이란 핵 합의를 인증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미국 국무부는 오는 5월 미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대북 강경파로 평가되는 존 볼턴 전 유엔 주재 미국 대사가 국가안보회의 보좌관으로, 국무부 장관으로는 마이크 폼페이오 중앙정보국 국장이 각각 내정된 데 대한 일각의 우려에 말을 아꼈습니다.
국무부는 23일 이에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문에 “임명된 지명자들과 관련된 사항은 백악관에 문의하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국무부는 주한 미국대사와 북한 인권특사, 대북정책 특별대표 자리가 여전히 공석이라는 지적과 관련한 질문에는 “우리는 이런 사안들과 관련해 국무부, 국방부, 백악관 등이 성명 등을 통해 수차례 입장을 밝혀왔다”며 “기존의 입장과 다르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국무부는 수전 손턴 동아태 차관보 대행과 마크 내퍼 주한 미국 대리 대사 등 유능한 국무부 직원들이 한반도 문제에 관여하고 있다는 입장을 줄곧 밝히며 일각의 우려를 일축해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