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28일 한국의 강경화 외교 장관과 전화통화를 하고 역사적인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에 따른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의 추후 조치를 논의했습니다.
미국 국무부의 헤더 노어트 대변인은 이날 성명을 통해 폼페이오 장관과 강 장관은 북한의 비핵화를 이룰 때까지 대북 압박 조치를 계속해 나가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 했다고 밝혔습니다.
양국 외교장관은 또 굳건한 한미 동맹을 재확인하고 향후 긴밀하게 협력해 나갈 것을 약속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중국의 왕이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도 CVID, 즉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한반도 비핵화라는 공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고 노어트 대변인은 밝혔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왕이 외교부장과의 전화 통화에서 북한이 비핵화 한다면 밝은 미래가 있다는 것을 강조했다고 노어트 대변인은 설명했습니다.
노어트 대변인은 또 폼페이오 장관은 중국이 북한의 불법적인 석탄 수출과 환적, 즉 선박 대 선박 이전을 통한 정유의 불법 수입 등과 관련한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의 모든 조항을 계속해서 철저히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 공동선언에 대한 후속 조치로 폼페이오 장관이 다음 주 북한을 방문할 전망이라는 영국 일간지 파이낸셜타임스의 보도와 맞물려 주목됩니다.
이 신문은 28일 미국 관리들의 말을 인용해 폼페이오 장관이 다음달 6일 인도 외무장관과 워싱턴에서 회담할 예정이었지만 북한 방문을 위해 이를 취소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 공동성명에는 폼페이오 장관과 이에 상응하는 북한 인사가 북한의 비핵화 및 한반도 평화체제를 위한 후속 조처를 “가능한 한 이른 시일 내에’ 논의한다고 명시돼 있습니다.
한편 중국 외교부의 루캉 대변인은 28일 정례 기자설명회에서 중국은 한반도 문제에 대한 원칙적 입장을 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중국과 러시아가 유엔에 대북 제재 완화를 요구하는 성명 초안을 제출했냐는 질문에 대해 중국은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정확히 집행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모든 회원국도 그렇게 해야 한다면서 안보리 결의 위반 문제는 증거를 가지고 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한국 외교부도 28일 강 장관과 폼페이오 장관이 완전한 비핵화와 한반도 항구적 평화구축을 위한 남북·미북 정상회담 결과의 충실한 이행을 위한 구체적인 추진 전략에 대해 밀도 있게 협의했다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