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의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지난달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 측이 비핵화의 반대급부로 미국의 경제지원 등을 원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23일 미국 연방하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한 폼페이오 장관은 “김 위원장을 직접 만나본 사람으로서 북한이 회담에서 얻고자 하는 목표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미국의 경제적 지원을 원했다고 답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 : 김 위원장은 주민들의 안녕을 위한 경제적 개발이 (북한 비핵화라는) 전략 수정에 달려있다는 것을 이해한다고 솔직히 말했습니다...그는 민간부문 사업의 지식과 노하우, 즉 비결 형태로 미국으로부터 경제적인 도움을 받는 것이 그에게 중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어 김 위원장이 세계로부터의 체제 보장과 남북 간 정전 상황의 종식, 결국에는 평화조약을 원한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북 정상회담 개최에 대해 불안한 태도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이날 폼페이오 장관은 미북 정상회담이 여전히 6월 12일 열릴 것으로 본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미북 정상회담의 최종 개최 여부는 김 위원장에게 달려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회담을 통해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도 나타냈지만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 조치를 시작하지 않을 경우 대북제재를 지속하겠단 입장도 분명히 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 : 우리는 과거 역사를 직시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낙관합니다. 북한이 완전하고 검증가능하고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에 대한 믿을만한 단계를 밟을 때까지 우리의 자세는 변하지 않을 것입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최근 김 위원장과 만났을 때, 짜여진 각본 없이 양국이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회담에서 어떤 사항을 요구할 것인지 허심탄회하게 논의했다며 이번 협상은 다를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치기도 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 : 김 위원장은 다른 세대, 다른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을 만나게 됐을 때 우리는 북한에 가장 도움이 되는 전략 변화(비핵화)를 이끌어낼 수 있길 바랍니다. 핵무기는 김정은 정권의 유지를 보장해주는 도구가 아니라 오히려 경제적으로 성공한 북한 정권이 유지되는 데 대한 걸림돌일 뿐입니다.
한편 청문회를 마친 폼페이오 장관은 23일 오후 워싱턴을 방문한 왕이 중국 외교부장을 만나 북핵 문제를 둘러싼 양국간의 의견을 조율했습니다.
이날 만남에서 폼페이오 장관은 예정대로 내달 12일 싱가포르에서 미북정상회담이 열릴 것을 희망한다고 밝혔고 이에 대해 왕이 외교부장은 지지한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왕이 국무위원은 “현 시점에서, 이미 (회담에) 좋은 기반과 필요한 조건이 갖춰져 있다”며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면 지금이 그 때이고 평화와 역사를 만들 기회”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