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폼페이오 7일 평양서 김정은 면담”

0:00 / 0:00

앵커 : 앞서 한 차례 취소됐던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4차 북한 방문이 오는 7일로 결정됐습니다. 국무부 측은 폼페이오 장관이 이번 방북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면담할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사안이 논의될 지는 미지수입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의 헤더 노어트 국무부 대변인은 2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폼페이오 장관이 오는 6일부터 8일까지 일본, 북한, 한국, 중국을 차례로 순방하며, 이 중 7일 평양에서 김정은 위원장과 면담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노어트 대변인은 이번 면담에서 어떤 논의가 이뤄질지에 대해서는 “사적인 외교 대화 내용을 밝힐 수는 없다”며 답변을 피했습니다.

그는 다만 폼페이오 장관의 4차 방북 일정이 정해진 것은 미북 간 비핵화 논의에 진전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그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노어트 대변인 : 폼페이오 장관이 1년 내 4 번이나 방북하는 것은 (협상의) 진전 상황과 추진력을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아직 갈 길이 멀지만 이 논의의 다음 단계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I think it shows forward progress and momentum that the secretary is making his fourth trip back in less than a year. Of course, we have quite a ways to go but we look forward to the next steps in this conversation.)

노어트 대변인은 또 “이 협상을 계속하기 위한 비행기에 오를 만큼 충분히 자신있다”고 덧붙였습니다. (We feel confident enough to hop on a plane to continue these negotiations.)

최근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유엔 총회에서 미국의 상응조치 없이 먼저 비핵화하지 않겠다고 한 발언과 관련해, 노어트 대변인은 완전한 비핵화까지 대북제재를 이행하겠다는 미국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노어트 대변인 : 우리의 정책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대북제재가 유지되는 것과 같이 정책들은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Our policy is not changed. Things stand firmly in place such as sanction is in place.)

한국 정부가 종전선언을 적극 추진하는 데 대해 노어트 대변인은 “한국, 일본 정부 등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으며 이번 순방에서 이에 대해 논의하길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또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사실상 비핵화 시간표를 설정하지 않은 것과 관련해 노어트 대변인은 “폼페이오 장관과 트럼프 대통령의 이전 발언들을 보면 대통령 임기 내 비핵화를 완성한다는 시간표를 정하지 않겠다고 말해왔다”며 “희망을 갖고 있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누구나 알다시피 가야 할 길이 많이 남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