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청와대 “폼페이오 북한과 동창리·영변 폐기조치 논의할 듯”

0:00 / 0:00

앵커 : 한국 청와대는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오는 7일 방북 때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영변 핵시설 영구폐기 조치 등을 논의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 보도합니다.

한국 청와대는 4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고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방북을 앞두고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청와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3차 남북 정상회담에서 채택한 평양공동선언의 이행 현황과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청와대는 폼페이오 장관이 미북 정상회담 일정과 장소를 잡는 문제를 놓고 북한 측과 집중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폼페이오 장관이 평양공동선언에 담긴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 영변 핵시설 영구폐기 조치 등을 논의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영변 핵시설이나 동창리 엔진시험장 폐기 문제가 지금 하나도 진전이 안 된 상황인데 일단 나온 것이라도 빨리 가야 하지 않겠느냐”며 “북한이 꺼낸 것부터 빨리 마무리하고 가야 하며 그 과정에서 상응 조치가 나오고 신뢰도 쌓이면 좀 더 빨라지는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또 “미북 양자가 다시 적극적인 대화 국면으로 진입했다는 점에서 기조는 긍정적”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 중간선거 이전 미북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장소에 따라 연동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미국 밖으로 정해지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사흘 정도 일정을 비워야 하는데 선거 일정을 감안하면 쉽지 않다”고 답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물론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이 빨라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볼 수는 있다면서도 중간선거 전 개최가 완전히 낙관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폼페이오 장관은 오는 7일 방북 일정을 마친 뒤 곧바로 서울을 찾아 문재인 대통령을 만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남북 정상은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북측은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를 유관국 전문가들 참관하에 우선 영구적으로 폐기하기로 했다’, ‘북측은 미국이 6·12 미북 공동성명 정신에 따라 상응 조치를 취하면 영변 핵시설의 영구적 폐기와 같은 추가적인 조치를 계속 취해나갈 용의가 있음을 표명했다’고 명시한 바 있습니다.

이날 청와대 회의에는 정의용 실장 외에도 강경화 외교부 장관, 정경두 국방부 장관, 서훈 국가정보원장,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등이 참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