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안보회의 9일 서울서 개최…‘북 발사체’ 대응방안 조율

0:00 / 0:00

앵커 : 북한이 최근 단거리 발사체를 발사한 가운데 한국과 미국, 일본이 서울에서 안보회의를 갖고 북한 발사체에 대한 대응방안을 조율할 예정입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미일 3국의 고위급 외교안보 당국자들이 참석하는 한미일 안보회의가 오는 9일 서울에서 열립니다.

이번 회의에는 한국에서 정석환 국방부 국방정책실장이, 미국에서 랜달 슈라이버 국방부 아태안보차관보가, 일본에서 이시카와 다케시 방위성 방위정책차장이 각각 수석대표로 참석합니다.

최현수 한국 국방부 대변인 : 회의에는 한미일 3국이 한반도 비핵화 및 항구적 평화정착을 위한 3국 공조방안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입니다.

특히 이번 회의는 북한의 단거리 발사체 발사가 비핵화 대화의 돌발변수로 떠오른 상황에서 열리는 만큼 이에 대한 공동대응 방안이 조율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 내 전문가들은 북한의 발사체 발사에도 불구하고 한미일 3국이 기존의 대북정책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김현욱 국립외교원 교수 : 이번 한미일 안보회의에서는 북한을 자극하거나 대북 압박을 더 강화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시 말하면 대화의 동력을 유지하는 가운데 상황이 악화되지 않도록 관리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한미일 안보회의는 한국과 미국, 일본 3국의 국방부 차관보급을 수석대표로 하는 국방·외교 당국 간 연례 안보협의체로 지난 2008년 시작됐습니다.

이런 가운데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가 일본에 이어 오는 9일 한국을 방문할 예정입니다.

10일까지 한국에 머무는 비건 대표는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회동하고 한미 워킹그룹, 즉 실무단 회의에 참석합니다.

비건 대표의 방한과 관련해 한국 외교부는 양측이 최근 상황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을 진전시키기 위한 양국 간 공조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협의를 가질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