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적십자위원회 “북 지뢰∙불발탄 제거지원 확대 가능”

0:00 / 0:00

앵커: 국제구호기관인 국제적십자위원회(ICRC)가 북한 당국의 한국전쟁 불발탄 및 지뢰 제거를 지원하는 인도주의적 활동을 더 확대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지예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최근 남북 군사당국 간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비무장지대(DMZ)를 실질적인 평화지대로 만들기 위한 노력이 본격화 되는 상황속에서, 국제적십자위원회는 북한 당국이 한국전쟁이 남긴 북한 내 잔류폭발물(ERW, Explosive Remnants of War)과 지뢰를 제거하는 데 지속적인 지원을 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기관의 북한 평양사무소 바트 베르메이렌 소장은 최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현재 한반도의 우호적(conducive) 환경이 무기오염(weapon contamination)에 대한 지원활동을 더 많이 필요로 하고 국제적십자위원회 활동이 더 우호적인 한반도 정세에 도움이 된다면 우리는 그렇게 할 준비(stand ready)가 되어있다”고 말했습니다.

무기오염이란 무력충돌이 종식된 후에도 지뢰와 불발탄 등 잔류폭발물에 의해 계속해서 분쟁후 지역의 사람들이 목숨을 잃거나 불구가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아울러 베르메이렌 소장은 국제적십자위원회의 무기오염 지원은 2015년부터 북한 인민보안부 산하 조직의 한국전쟁 잔류폭발물 제거 훈련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이어 이러한 무기오염 지원은 철저히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를 준수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한, 공정하고 중립적이며 독립적인 인도주의 기관으로서 한국전쟁으로 인한 무기오염을 비롯한 한반도 인도주의적 문제 해결에 공헌할 수 있는 모든 기회를 잡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관련, 유엔 평화유지국 소속 지뢰대책기구(UNMAS)는 북한 당국의 지뢰제거에 대한 유엔 차원의 지원 가능성을 묻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의에 “지뢰대책기구는 유엔사무총장과 지뢰 당사국 요청으로 유엔 안보리의 위임(mandate)이 있고, 적절한 재정적 자원이 제공됐을 때 해당 지역을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국제민간기구인 지뢰금지국제운동(ICBL)은 3일 인터넷 사회관계망 서비스인 트위터를 통해 “비무장지대 지뢰제거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북한과 한국이 지뢰금지조약(MBT)의 공동가입을 위한 단계적인 과정을 공식적으로 시작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한국 국방부는 지난 1일부터 남북 군사당국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과 강원도 철원 비무장지대의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지뢰제거 작업을 개시했다고 전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