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남북대화 추진 과정서 제재 철저 이행”

0:00 / 0:00

앵커 : 한국 정부가 평창 동계올림픽 이후 남북대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대북제재를 철저히 이행하겠다는 방침을 거듭 밝혔습니다.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한 미북 회동 불발 보도에 대해선 사실 확인이 어렵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는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마련된 남북대화를 비핵화 대화의 동력으로 삼겠다는 구상 아래 현재 미국과 긴밀히 조율 중입니다.

한국 외교가에서는 이에 따라 한미 양국이 이르면 다음 주 워싱턴에서 고위급 협의를 진행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 정부는 북핵 6자회담 한국측 수석대표인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을 미국에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직접 미국을 방문하는 방안도 거론됩니다.

한미간 협의에서는 평창올림픽 이후 북핵 대응 방안이 핵심 의제가 될 전망입니다.

한국 정부는 이와 함께 북핵 문제에 진전이 있어야 남북관계가 진전될 수 있다는 방침을 재확인했습니다.

외교부는 이날 평창올림픽 이후 남북대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비롯한 기존의 대북제재를 철저히 이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북핵 문제의 실질적인 진전 없이는 대북제재와 압박이 지속될 수 밖에 없다는 겁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 청와대는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방한했던 미북 고위급 대표단 간 회동이 성사 직전 불발됐다는 보도와 관련해 “공식적으로 확인해줄 사항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 : 한국과 미국 간에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는 내용에 대해서 지금 이 자리에서 다 말씀드릴 수 없다는 점을 다시 한번 거듭 양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앞서 미국의 워싱턴포스트(WP)는 평창올림픽 개회식 참석차 방한했던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북한 고위급 대표단과 지난 10일 만날 계획이었지만 회담 2시간 전에 북한이 이를 취소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만약 이 보도가 사실일 경우 평창올림픽 개막을 계기로 한국 정부의 ‘중재’에 따라 미북간 접촉이 시도된 것이어서 주목됩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한 남북대화 동력이 지속돼 한반도 평화 정착에 기여하길 희망한다”며 "펜스 부통령의 방한이 중요한 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