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동맹과 ‘다국적 연합’으로 북 불법환적 감시강화”

0:00 / 0:00

앵커: 미국이 동맹국들과 '다국적 연합'을 구성해 불법 환적을 통한 북한과의 정제유 해상 밀거래에 대한 감시활동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군 인도∙태평양 사령부는 14일 자신들의 우선순위는 한반도 비핵화를 목표로 미국 국무부가 주도하는 외교적, 경제적 노력을 지원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Our priority in the Indo-Pacific Command is supporting the State Department-led diplomatic and economic efforts aimed at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인도∙태평양 사령부 대변인실은 이날 미국이 불법 환적을 통한 북한과의 정제유 밀거래 감시를 강화하기 위해 '다국적 연합'을 구성한다는 미국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의 보도에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의 확인 요청에 이같이 답했습니다.

대변인실은 미국 국방부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이행 지원을 계속하고 있다며 다국적 연합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안보관련 이유로 밝힐 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The Department of Defense continues to provide support to UNSCR enforcement efforts but I cannot go into the operational details for security reasons.)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군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미국이 북한의 불법환적 단속에 대한 감시활동 강화를 위해 영국,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일본, 한국, 프랑스와 함께 다국적 연합을 구성할 방침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미국은 지난 7월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에 보낸 문서에서 북한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총 89차례에 걸쳐 해상에서 환적을 통해 정제유를 불법 취득했다면서 안보리 결의에서 정한 상한선을 넘어섰다고 밝혔습니다.

그 이후 미군은 북한의 불법환적을 단속하기 위한 적극적인 활동을 펼쳐왔습니다. 조셉 던포드 미국 합참의장의 말입니다.

던포드 합참의장: 우리는 UN 대북 제재를 위반하고 불법 환적을 통해 이뤄지고 있는 북한과의 정제유 밀거래를 단속하기 위해 항공 및 해상 작전을 펼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작전을 동맹 및 협력국들과 함께 하고 있습니다.

한편,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 대사는 13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이행보고서가 러시아의 압력으로 수정됐다고 비난했습니다.

헤일리 대사는 이날 성명을 통해 “이번주 유엔 안보리에 제출된 제재위원회의 대북제재 이행보고서가 지난달 제출된 보고서와 동일하지 않다”며 “러시아가 제재위원회 전문가단을 압박해 자국이 연루된 대북제재 위반 사항을 은폐하려고 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러시아가 독립된 유엔 대북제재 이행보고서 내용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이를 고치거나 막을 수 없다"며 “전문가단이 러시아의 압력에 굴복해 독립된 보고서를 수정한 데 대해 실망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