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트럼프 발언, 한미 협의로 진행하겠다는 의미”

청와대에서 차량이 나오고 있다.
청와대에서 차량이 나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청와대 제공)

0:00 / 0:00

앵커 : 한국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5·24조치 발언과 관련해 한미 간의 긴밀한 공조가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한국 정부는 북한산 석탄 반입이 의심되는 2개 사건을 조사중입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 보도합니다.

한국 청와대는 미국의 승인 없이는 한국이 대북제재를 해제하지 않을 것이라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모든 사안은 한미 간 협의가 있는 가운데 진행한다는 뜻으로 받아들인다고 밝혔습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11일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한 입장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으로 10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국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5·24 제재 해제 검토 발언에 대한 질문을 받고 “그들은 우리의 승인 없이는 아무것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강 장관이 전날 5·24 조치 해제 검토를 언급한 데 대해 외교라인을 통해 곧바로 미국 측에 설명했다고 밝혔습니다.

노규덕 외교부 대변인 : 어제 외교부 국감 당시 장관의 언급은 남북관계 발전과 비핵화 관련 대화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안보리 결의 등 대북제재의 틀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연하게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는 취지의 발언이었습니다.

한국 정부는 5.24 조치 해제를 구체적으로 검토한 사실이 없다는 입장도 밝혔습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11일 국정감사에 출석해 천안함 사건과 관련해 북한 측의 조치가 있어야 5.24 조치 해제가 가능하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다만 교류협력 사업을 하면서 남북관계를 개선하고 발전시키는 상황에서 그때그때 유연한 대처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 : 이것은 지금 정부만이 아니고 과거 이명박, 박근혜 정부도 유연한 조치를 취해왔습니다.

한국 관세청은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북한산 석탄 반입이 의심되는 2개 사건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관세청은 8월께 압수수색을 마쳤으며 송장 등 관련 서류는 모두 확보했다며 외교부 등 관계부처에 수사 착수 사실을 통보했다고 밝혔습니다.

밀반입이 의심되는 석탄은 무연탄으로 이미 한국에서 유통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관세청은 관련된 인물이 더 있을 것으로 보고 추적 중이라며 수사가 확대될 수 있기 때문에 당장 밝히기 어려운 내용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