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재무부, 한국 내 은행들에 대북제재 준수 요청

윤석헌 금융감독원 원장이 12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위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윤석헌 금융감독원 원장이 12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위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0:00 / 0:00

앵커 : 미국 재무부가 지난달 남북이 평양공동선언을 발표한 직후 한국 은행들을 상대로 대북제재 이행 상황을 파악하고 제재 준수를 요구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 보도합니다.

미국 재무부는 남북 정상이 평양공동선언을 한 직후인 지난달 20일과 21일에 한국 내 국책은행과 시중은행 등 모두 7개 은행과 전화회의를 열고 추진하고 있는 대북사업 현황을 묻고 대북제재를 준수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한국의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12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미 재무부가 미국에 진출한 한국 은행들의 서울 본점에 직접 연락해 전화회의를 한 것으로 파악됐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윤석헌 금융감독원장 : 유엔과 미국의 대북제재가 여전히 유효하다고 그쪽(미국 재무부)에서 대북제재 이행을 촉구했습니다.

당시 전화회의에 참석한 각 은행 측은 각종 사업을 국제사회가 정한 대북제재의 틀 안에서 진행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제재를 충실히 준수하겠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윤 원장은 한국 은행들이 대북제재에 대해 충분히 숙지해 이해하고 있고 앞으로도 준수하겠다고 밝혀 미국 측의 오해가 풀렸다고 말했습니다.

회의에는 미국 재무부에서 테러·금융정보 담당 관계자가, 한국의 은행들은 준법감시 담당 부행장급 인사가 참석했습니다.

미 재무부 측이 먼저 전자우편(e-메일)으로 ‘북한 관련 회의를 열고 싶다’고 알린 뒤 한국의 은행들과 순차적으로 연락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국의 전문가들은 미국 재무부가 한국의 은행들과 직접 접촉해 대북제재 준수를 강조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며 이번에 미 재무부가 접촉한 한국의 은행들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대북 관련 사업을 준비해왔다고 말했습니다.

김영호 성신여대 교수 : 지난해 10월 북한산 무연탄이 한국으로 밀반입되는 과정에서 한국의 은행 1곳이 신용장을 발급해준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이 때문에 미국 재무부가 이번에 한국의 은행들에게 전화를 걸어 만약 한국의 은행들이 대북제재를 제대로 준수하지 않을 경우에는 한국의 은행들도 제재를 받을 수 있다는 경고를 보낸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앞서 한국의 관세청은 지난 8월 북한산 석탄과 선철이 한국으로 반입된 사실을 공식적으로 확인하고 반입 과정에서 한국 내 은행과의 신용장 거래가 있었음을 확인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관세청은 당시 해당 신용장 거래 은행이 수입 업체의 불법 행위를 인지한 정황은 발견하지 못했다며 수입업체 정보와 해당 신용장 거래 은행이 어느 은행인지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