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북 맹비난에 “대북제재 효과 증거”

0:00 / 0:00

앵커 : 북한이 대북제재 이행을 강조하며 동중국해에 자국 함선을 배치한 호주, 즉 오스트랄리아를 향해 '분별 있게 처신하라'며 비난을 쏟아낸 데 대해, 호주 정부는 북한의 비난 자체가 대북제재의 효과를 나타내주는 증거라고 지적했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25일 ‘분별 있게 처신해야 한다’는 제목의 개인 필명 논평을 통해 유엔에서 대북 제재 완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호주가 시대를 역행하고 있다며 “꼭두각시 노릇을 하여온 타성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 같다. 경제제재나 외교적 압박이라는 것이 통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호주 외무부 대변인은 29일 북한의 이러한 주장에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의 논평 요청에 “(북한의) 이러한 논평은 유엔 제재를 이행하려는 호주의 노력이 북한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These comments show that our efforts to enforce UN sanctions are having an impact on North Korea.)

또 대변인은 자국 호위함을 동중국해에 배치한 사실에 대해서는 “우리는 비핵화를 향한 구체적인 조치가 취해질 때까지 북한에 대한 압박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We remain committed to maintaining pressure on North Korea until it takes concrete steps towards denuclearisation.)

이는 노동신문이 “오스트랄리아가 그 무슨 ‘제재 리행’ 지원을 운운하며 조선반도 주변 수역에 전투 함선을 들이밀고 있다”며 최근 조성된 한반도 평화 분위기를 호주가 망친다면 그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한 데 대한 호주 측의 반응입니다.

아울러 호주 외교부는 “북한이 핵 및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을 금지하는 유엔 안전 보장이사회 결의를 준수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검증 가능한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한다”며 “북한이 국제 사찰단에 시설 해체를 확인하도록 허용한다면, 우리는 이러한 노력에 호주의 전문성을 제공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앞서, 호주 일간지 ‘브리스번 타임즈’는 호주 공군 소속 멜 헙펠드 중장이 동중국해에 유도탄 장착 호위함인 ‘HMAS 멜버른’을 배치한 사실을 밝혔다고 12일 보도한 바 있습니다.

당시 헙펠드 중장은 ‘HMAS 멜버른’ 함의 한반도 근해 파견을 발표하면서 “최근 한반도 긴장이 완화되고 있지만 북한은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고 핵무기와 탄도미사일을 계속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해상초계기와 수상함을 한반도 인근에 파견한 것은 북한에 대한 경제·외교적 압박을 통해 국제사회가 이행 중인 대북 제재를 더욱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현재 호주는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이행감시 차원에서 HMAS 멜버른 함과 P-8A 포세이돈 해상초계기, AP-3C 해상초계기 2대를 주일미군 기지에 배치해 놓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