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오는 2022년 말까지 유엔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를 이끌어 갈 신임 의장국에 오른 노르웨이는 북한에 완전한 비핵화를 재촉구하는 한편 더욱 원활한 대북 인도주의 지원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노르웨이 외무부 측은 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한반도의 평화와 안전 유지를 위한 안보리의 노력을 전적으로 지지한다"며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고, 의미있는 협상으로 복귀하는 것이 필수"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상황에 따라 평화롭고 외교적인 해결책을 지원할 것이며, 결국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와 한반도의 지속적인 평화를 목적으로 한다고 밝혔습니다. (Norway fully supports the efforts of the Security Council to maintain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It is essential that the DPRK takes concrete steps towards denuclearization, and returns to meaningful negotiations. We support a peaceful and diplomatic solution to the situation. The goal is the complete, verifiable, and irreversible denuclearization of the DPRK and lasting peace on the Peninsula.)
노르웨이 외교부는 또 유엔 안보리의 모든 대북제재 결의를 완전히 지지한다면서도 제재의 틀 안에서 대북 인도주의 지원에 대한 면제 승인 절차를 개선하고 간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뜻도 밝혔습니다. (Norway stands firmly behind all relevant resolutions of the Security Council, and has also implemented further restrictive measures, in line with those implemented by the EU. We will work to improve and streamline the use of humanitarian exemptions within the existing sanction frameworks.)
외교부는 특히 코로나 19, 즉 코로나비루스 상황으로 북한 주민들이 더욱 힘든 상황에 처한 데 대해 깊이 우려한다며, 노르웨이 정부 차원에서 북한 주민들을 위한 지원에 지속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노르웨이는 2019년 북한에 대한 인도주의 지원을 위해 유엔과 국제적십자사를 통해 약 270만 달러를 전달한 바 있습니다.
앞서 대북제재위원회는 지난해 11월 30일 구호단체의 긴급한 대북지원에 대한 제제면제 신청을 신속히 처리하고 제재면제 기간을 기존 6개월에서 9개월로 늘리는 한편 이 기간 3번에 나눠 구호품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대북제재이행 지원지침' 개정안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한편 지난해까지 2년 동안 대북제재위원회를 이끌었던 독일은 지난해 말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임기가 끝나면서 제재위 의장국에서도 물러나게 됐습니다.
제재위 신임 의장국 노르웨이 “대북 인도지원절차 개선할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