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직전 동시 대북제재

0:00 / 0:00

앵커: 미국 정부가 불법적인 금융 지원과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을 통해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자금 조달에 관여한 개인 3명에 대해 제재를 부과했습니다. 제재를 받은 대상 중 한명은 북한국적자로, 한미 정부에 의해 동시에 제재 대상으로 지정됐습니다. 자세한 내용 자민 앤더슨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24일 암호화폐 세탁 등으로 북한의 핵, 미사일 개발 자금 조달에 관여한 개인 3명을 제재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중 한국과 미국이 동시에 제재한 인물은 북한국적자 심현섭으로, 지난 2016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제재대상으로 지정한, 중국 단둥의 조선광선은행 부대표입니다.

재무부에 따르면 심씨는 해외에 불법 체류하면서 신분을 위장해 활동하는 북한 해커들이 벌어들인 암호화폐를 포함해 수백만 달러에 달하는 불법 자금을 세탁하고 이들에게 금전적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핵·미사일 개발 자금 조달에 관여했습니다.

재무부는 “심씨는 2021년 9월부터 수천만 달러의 가상화폐를 받았는데, 그 중 일부는 정보기술(IT) 업무를 위해 미국 기반 회사들이 모르고 고용한 북한 노동자에게서 나온 것"이라며 “가짜 신분을 사용하는 북한 정보기술 분야 종사자들은 취업시 가상화폐로 급여를 줄 것을 요구하고 이 대부분을 세탁해 북한에 보낸다"고 설명했습니다.

심씨는 또 북한 해커들이 탈취한 암호화폐를 위장 기업, 즉 불법활동을 숨기기 위한 기업에 송금하도록 해 이 위장 기업의 명의로 북한 정권을 대신해 담배나 통신 장치 등의 물건 등을 구매하도록 지시했습니다.

한국과 미국이 북한과 관련해 동일한 대상을 동시에 독자 제재한 건 2016년 고려항공 이후 6년 4개월만이며, 사이버 분야에서는 처음입니다.

한미 약국은 그동안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 주요 자금원으로 부상한 불법 사이버 활동을 실질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긴밀히 공조해왔는데, 한미정상회담을 이틀 앞두고 양국 정부가 동시에 첫 사이버 독자제재를 발표한 겁니다.

한편 이날 재무부가 추가로 독자 제재 조치를 발표한 2명은 중국 및 홍콩 기반으로 활동하는 장외거래(OTC) 가상화폐 거래자, 중국 국적의 우 훼이훼이(Wu Huihui)와 영국 국적의 청훙만(Cheong Hung Man)입니다.

이들은 북한 정찰총국 소속의 해커조직 라자루스가 훔친 가상화폐를 법정 화폐, 즉 실제 돈으로 전환하는 데 도움을 줬다고 재무부는 설명했습니다.

재무부는 우씨가 지난 2021년 여러차례의 거래를 통해 수백만 달러의 가상화폐를 실제 돈으로 바꿨으며, 청씨는 우씨와 함께 일하며 위장 회사를 통해 북한의 해커들이 미국의 금융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왔다고 밝혔습니다.

브라이언 넬슨 재무부 테러 및 금융정보 담당 차관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미국은 올해 벌써 세 차례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한 평양에 특히 주목하며, 북한의 이러한 불안정한 행위들을 촉진하게 하는 이들에 대해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조치에 따라 제재 대상자들의 미국 내 자산은 동결되며, 미국인과 이들 간의 거래도 금지됩니다.

기자 자민 앤더슨, 에디터 박정우,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