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아베 신조 일본 전 총리는 대북제재는 매우 효과적이었다며 북한에 대한 최대한의 압박 정책을 계속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해 8월 지병을 이유로 총리직을 사임한 아베 전 총리는 21일 미국 민간연구기관인 허드슨 연구소와 가진 온라인 간담회에서 일본의 대북정책 기조는 피랍 일본인, 핵과 미사일, 북일 외교정상화 등의 현안을 포괄적으로(comprehensively) 다루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 정책기조는 현 스가 요시히데 총리가 이끄는 일본 정부도 동일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아베 전 총리는 북핵문제와 관련해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북핵폐기(CVID)를 위해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가 완전히 이행되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에 대한 최대한의 압박정책이 계속 유지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아베 전 총리: 대북제재가 매우 효과적이었다는 것은 의문의 여지가 없습니다. 북한의 불법적인 선박 간 환적은 국제 협력을 가져왔습니다. 국제사회가 최대한의 대북압박을 지속해 북한의 주요 정책들이 바뀌도록 해야 합니다.
아베 전 총리는 또 북한 당국에 의해 납치된 일본인 문제와 관련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총비서에게 일본 입장을 대신 전달했다며 이에 대해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한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이날 간담회에 함께 참석한 미국의 허버트 맥매스터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최대한의 대북 압박정책은 김정은이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는 편이 더 유리하다는 생각이 들도록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서 이를 위해 대북압박이 지속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과 일본 간의 관계가 강화되면 이런 대북압박에 더 도움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기사 작성 자유아시아방송 이상민 기자,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