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베네수엘라에 대북제재위반 경고서한 발송”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가 베네수엘라와 북한 간의 군사기술 협력 가능성을 조사하고 있다면서, 베네수엘라에 대북제재 결의를 위반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한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습니다.

28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대북제재위 전문가단의 알라스테어 모건(Alastair Morgan) 조정관은 지난해 10월과 올해 6월 12일 사무엘 몬카다 유엔 주재 베네수엘라 대사에게 서한을 보냈습니다.

모건 조정관은 서한에서 북한과의 군사기술 협력은 유엔 결의를 위반하는 것인만큼, 전문가단은 대북협력 관련 정보에 대한 답변을 베네수엘라에 요청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서한에서 몬카다 대사에게 베네수엘라와 북한 간의 군사기술 협정의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할 것도 요구했습니다.

앞서, 대북제재위는 지난 3월 공개한 연례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9월 평양을 방문한 베네수엘라 제헌의회(ANC) 디오스다도 카베요 의장과 북한 간의 맺은 군사기술 협정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실제 앞서 지난해 10월 베네수엘라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실은 인터넷사회연결망인 트위터를 통해 베네수엘라 제헌의회(ANC) 디오스다도 카베요 의장이 북한과 군사 및 기술협력 등을 포함한 다수의 중요한 협정에 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마두로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당시 트위터에서 "카베요 제헌의장이 북한과 기술, 산업, 군사 등 모든 협력분야에서 합의를 체결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당시에도 베네수엘라와 북한 당국은 합의에 대한 자세한 세부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한편, 베네수엘라는 평양 주재 북한 대사관을 지난해 8월 21일 개관했으며, 지난해 7월 마두로 대통령의 아들 니콜라스 에르네스토 마두로 게라가 북한을 방문하는 등 양국 간 교류를 활발히 이어가고 있습니다.

앞서 마두로 게라는 지난해 6월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에 의해 미국의 독자제재 대상에 오른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