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북 도발 대응 추가조치 준비 돼”

0:00 / 0:00

앵커 :미국 국무부는 북한의 잇따른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응해 제재 등 여러 도구를 가지고 있다며, 추가 조치에 나설 준비가 돼있다고 밝혔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베단트 파텔(Vedant Patel) 국무부 수석 부대변인은 6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최근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에 대한 구체적인 특징을 평가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을 다시 한번 규탄하면서 역내에 용납할 수 없는 위협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9월부터 여러 차례 이어진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으로 이웃 국가와 국제사회에 직접적인 위협이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향후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한 대응과 관련해 파텔 부대변인은 당장 구체적인 조치는 없지만 미국이 많은 도구(tools)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파텔 부대변인 :우리는 북한 당국에 책임을 묻기 위해 사용 가능한 제재, 기타 여러 가지 도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검토 중인 조치는 없지만 미국은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으며, 추가 조치를 취할 준비가 돼 있습니다.

그는 또 북한과 전제조건 없이 만날 준비가 돼있다는 미국 정부의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파텔 부대변인은 전날인 5일 북한 문제 논의를 위해 열린 유엔 안보리 회의에서 중국, 러시아와의 입장차로 별다른 결론을 도출하지 못한 데 대해 ‘실망스럽다’고 밝히면서도 여전히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목표로 다자기구를 통한 조치를 취해오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유엔 안보리는 5일 북한의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 도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소집했지만 별다른 결론을 내지 못한 채 산회했습니다.

회의 소집을 주도한 미국을 비롯한 대부분 이사국들은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안보리 제재 위반이라고 규탄하며 단호한 대응을 촉구했지만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의 행동을 오히려 미국 탓으로 돌리며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습니다.

중국과 러시아가 기존 입장을 고수할 가능성이 큰 가운데 유엔 안보리 이사국인 노르웨이, 프랑스 등은 향후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에 대한 유엔 안보리 차원의 대응을 묻는 6일 자유아시아방송(RFA) 질의에 5일 회의에서의 발표 내용을 참고하라며 즉답을 피했습니다.

한편 유엔 안보리 상임 이사국 중 하나인 영국 외무부는 6일 발표한 성명에서 “이날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영국은 북한이 대화로 돌아오고, 비핵화를 위한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방식으로 신뢰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하기 위해 다른 동반자 국가들과 계속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성명은 또 “북한이핵무기와탄도미사일프로그램을불법으로추구하는대신주민들의안녕을우선하길촉구한다”고덧붙였습니다.

북한은 지난 4일 일본 상공을 통과하는 중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지 이틀 만인 6일, 평양에서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또 발사했습니다.

기자 김소영,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