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는 12일 싱가포르에서 예정된 미북 정상회담이 잘 진행되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미국으로 초대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 백악관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미일 정상회담을 한 후 공동 기자회견에 나서 미북 정상회담이 잘 진행되면 김정은 위원장을 미국으로 초대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 (김 위원장을 미국으로 초청할 것이냐에 대한) 대답은 '그렇다'입니다. 회담이 잘 진행된다면 말입니다… 저는 김정은 위원장도 이에 대해 매우 호의적일 것으로 생각합니다. (Well the answer is yes…certainly if it goes well. I think it would be well-received. I think he would look at it very favorably.)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이 잘 진행되지 않으면 회담장을 떠날 수도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최대한의 압박은 매우 효과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아베 총리와 회담에 앞서 기자들과 만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비핵화를 받아들이지 않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면서 대북 제재의 효과는 엄청나기 떄문에 “제재를 해제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If they don't denuclearize, that will not be acceptable…We cannot take sanctions off. The sanctions are extraordinarily powerful.)
또 “얼마든지 추가제재를 가할 수도 있지만 현 시점에선 그러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말하면서도 또 “앞으로 추가제재는 가능하다”고 거듭 밝혔습니다. (I could add a lot more but I've chosen not to do that at this time, but that may happen.)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에도 ‘최대한의 압박이라는 표현을 더 이상 사용하고 싶지 않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 후 기자들과 만나 북한 측과의 합의는 해결하기 쉬운 것부터 할 것이라며 회담 전망을 밝게 하는 좋은 사실들이 많다고 소개했습니다.
그러면서 “미북 정상회담에서 한국전쟁 종전에 대한 합의에 서명할 수 있을 것”이라며 미북 양국이 정상적 관계가 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경제 지원과 관련해 “한국과 일본이 지원할 것이고 중국도 나서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아베 총리는 “북한과의 불행한 과거를 청산하고 경제 지원에 나설 의향이 있다”면서도 북한의 핵과 미사일뿐 아니라 일본인 납치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아베 총리가 일본인 납치 문제에 관해 오랜 시간 열정적으로 말했다”며 북한에 억류됐다 지난해 6월 혼수상태로 풀려난 후 사망한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와 지난달 10일 송환된 한국계 미국인 3명 문제를 언급했습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억류됐다 풀려난 3명이 가족과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며 북한이 달라졌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백악관을 예방한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을 통해 받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친서에 대해 "단지 안부 인사를 전하는 내용이었다"며 "따뜻하고 좋은 편지였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