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의 기습 공격으로 한국 해군의 천안함이 폭침된 지 약 13년이 지난 가운데 천안함 전우들의 희생을 기리기 위한 보훈연구소가 창설됐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2010년 3월 26일 백령도 인근 해상에서 북한 잠수함의 어뢰 기습 공격으로 폭침된 천안함.
15일 서울에 개소한 ‘326호국보훈연구소’는 천안함 전상자를 위한 합당한 예우제도 연구, 천안함 생존장병과 부상장병 등 국가를 위해 희생한 청년들을 위한 정책연구, 생존장병 외상후스트레스(PTSD) 치유 방안 연구 등의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창설됐습니다.
또 천안함 피격사건 바로 알리기, 천안함 기록 보관(아카이브), 천안함 피격사건 자료, 증언 등 생존장병의 역사 기록과 관리 등의 활동을 전개할 예정입니다.
초대 소장은 당시 천안함 함장이었던 최원일 한국 해군 예비역 대령이 맡았습니다.
이날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에서는 최원일 소장, 강윤진 한국 보훈처 제대군인국장, 천안함 피격사건 생존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326호국보훈연구소 창설 기념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최원일 소장은 행사에서 천안함 폭침은 북한의 도발인 것으로 밝혀졌지만 이를 왜곡하려는 시도가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최원일 326호국보훈연구소장: 5개국 합동조사단 조사 결과 북한의 명백한 도발로 판명이 됐습니다. 음모론자에게 묻고 싶습니다. 5개국 전문가들보다 전문성이 있습니까? 저를 비롯한 생존자들 같이 그 바다에 있었습니까?
그러면서 천안함 전사장병과 생존장병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최원일 326호국보훈연구소장:이제 정쟁은 그만두고 안보에는 정치적 논리라든가 사적인 이익 등은 배제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104명 전우들의 명예를 되찾는 날까지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한국 해군의 초계함인 천안함은 지난 2010년 3월 26일 오후 9시 22분 백령도 서남방 해상에서 경계 임무를 수행하던 중 북한 잠수정의 어뢰 공격으로 침몰했습니다. 승조원 104명 중 58명은 구조됐지만 나머지 46명은 전사했습니다.
당시 한국, 미국, 영국, 호주, 스웨덴 등 5개국 출신 전문가로 구성된 합동조사단은 천안함이 북한군 잠수함정의 어뢰공격을 받아 침몰했다고 결론내린 바 있습니다.
기자 이정은, 에디터 오중석, 웹팀 이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