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상, 13개월 만에 단독환담…“북 도발로 한미일 공조 더욱 중요해져”

0:00 / 0:00

앵커 : 한일 정상이 13개월 만에 단독 환담을 가졌습니다. 한국 내에선 북한의 잇단 도발로 한미일 공조가 더욱 중요해진 만큼 한일관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서울의 서재덕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청와대는 4일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참석차 태국, 즉 타이 방콕을 방문 중인 문재인 한국 대통령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11분간 단독 환담을 가졌다고 밝혔습니다.

한일 정상 간 만남은 지난해 9월 미국 뉴욕 유엔총회 계기로 열린 회담 이후 13개월여 만입니다.

앞서 한일 양국은 지난달 24일 총리회담을 통해 악화된 양국관계를 방치해선 안 된다며 북핵 문제의 해결을 위해 한일, 한미일간 공조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습니다.

한국 청와대에 따르면 한일 정상은 4일 회담에서 양국관계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으며 대화를 통해 현안을 해결해야 한다는 원칙도 재확인했습니다. 양 정상은 이와 함께 양국 외교부 간 협의를 통해 실질적인 관계 진전 방안이 도출되기를 희망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필요하다면 보다 고위급 협의를 갖는 방안도 검토해 보자”고 제의했고 이에 아베 총리는 “모든 가능한 방법을 통해 해결 방안을 모색하도록 노력하자”고 화답했습니다.

지소미아, 즉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종료 결정 등으로 한일관계가 냉각된 상황에서 양국 정상이 마주 앉은 것은 관계 악화를 더는 방치할 수 없다는 데 공감대를 이뤘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한국 내 전문가들도 이번 정상 간 만남을 계기로 한일 양국이 실질적인 관계 개선과 함께 한미일 3국 간 공조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이인배 협력안보연구원장 : 지난 5월부터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로 인해 한반도와 동북아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이 더 강화됐기 때문에 한일 간 안보 공조의 필요성이 높아졌습니다. 한일 간 안보 협력이 강화된다면 자연스럽게 한미일 공조도 복원되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한일 간 협력이 중요합니다. 이런 차원에서 지소미아를 복구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이런 가운데 정경두 한국 국방부 장관은 오는 22일 만료 예정인 지소미아와 관련해 한국의 안보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계속 유지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정경두 장관은 이날 한국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지소미아 종료와 관련해 우려하는 부분들이 없도록 해나가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며 그런 차원에서 많이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국의 국가정보원도 이날 이뤄진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지소미아의 복구 가능성에 대해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답변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북한의 도발 등 역내 안보 위협에 긴밀히 대처하기 위해 지소미아 연장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일본을 방문 중인 마크 내퍼 미 국무부 한국·일본 담당 동아시아태평양 부차관보는 지난 2일 언론 인터뷰에서 한일 간 지소미아 종료가 한미일 3국의 안보 뿐 아니라 역내 안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